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명말청초 산수화와 산수판화와의 관련성 연구: 弘仁의 기하학적 표현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정희-
dc.date.available2020-07-10T05:37:45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9-332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564-
dc.description.abstract청초에 활동하였던 弘仁(1610~1664)의 작품은 산이나 바위가 전반적으로 윤곽선 위주이면서 각이 심하게 진 기학학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이전에 보지 못하던 개성적이고 특이한 회화적인 표현으로 이후에 중국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까지 동아시아 회화에 크게 영향을 미쳐 산이나 바위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유행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표현은 홍인이 원대의 예찬을 흠모하여 모방한 것이라는 논의가 일반적이지만, 필자는 실제로는 송강파나 신안화파의 선구자들 중에서 李永昌이나 程嘉燧 같은 화가들의 화법에서 유래된 측면이 상당히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송강파의 고정의와 동기창이 이러한 기하학적 표현의 선구적인 작례를 다수 남기고 있어 그러한 원류가 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밖에 동기창은 바위의 끝단을 말아 올리는 기법이나 방작, 산수장권으로 그리는 등 명 말기에 성행한 새로운 기법에서 전반적인 원류가 되었음도 지적하였다. 홍인은 이러한 일반 회화뿐만 아니라 명 말기에 복건성에서 제작된 『武夷志略』이나 소운종의 『태평산수도』 같은 산수판화집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홍인은 흡현 출신이지만 명이 몰락한 뒤에 승려가 되어 무이산에 들어가 몇 년간 머물렀기에 그곳에서 발간된 『무이지략』을 접할 기회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판화를 통해 그의 작풍을 착안하였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한편 명 말기인 1619년 발간된 『무이지략』 역시 그 이전에 나온 여러 판화집들에서 보이던 단편적인 기하학적 표현을 발전시킨 것이 아닐까라는 추정을 해보았으며, 다른 일반 회화에서의 기하학적 표현 역시 『무이지략』 같은 산수판화집이 발간되는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밑그림을 담당했던 화가들이 일반 회화에서의 새로운 경향을 판화에 적용하면서 자주 일어났던 현상이라 해석된다. 홍인의 작품은 후대의 일반 산수화와 산수판화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1679년 발간된 기념비적 산수판화집인 『芥子園畵傳』에 반영되면서 기하학적 표현은 동아시아 삼국의 산수화에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기하학적인 표현은 일반 회화에서 먼저 등장하였다가 이것이 판화로 옮겨가고 그 이후에는 다시 일반회화로 이전되어 판화와 일반회화의 상호교류에 의해 점차적으로 퍼져나간 것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미술사연구회-
dc.title명말청초 산수화와 산수판화와의 관련성 연구: 弘仁의 기하학적 표현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Painting and Landscape Print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Periods, with a Focus on Geometrical Representation in Art-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한정희-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미술사연구, no.32, pp.221 - 246-
dc.relation.isPartOf미술사연구-
dc.citation.title미술사연구-
dc.citation.number32-
dc.citation.startPage221-
dc.citation.endPage24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3025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신안화파-
dc.subject.keywordAuthor황산파-
dc.subject.keywordAuthor홍인-
dc.subject.keywordAuthor무이지략-
dc.subject.keywordAuthor정가수-
dc.subject.keywordAuthorSchool of Sinan-
dc.subject.keywordAuthorSchool of Huang-shan-
dc.subject.keywordAuthorHongren-
dc.subject.keywordAuthorPrints of Wuyi Mt.-
dc.subject.keywordAuthorCheng Jiasu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Art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