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매개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철중-
dc.contributor.author유진형-
dc.date.available2020-07-10T06:22:00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369-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의 세기라 일컫는 21세기에 들어 문화 공간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 되고 있다. 오늘날 문화공간은 특정 활동만을 담는 고정된 건축적 공간의 형태보다 다양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연한 경계로서의 공간형태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을 한국의 전통 장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한국 전통 장터는 공간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개개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장소였으며, 생필품 교환 활동과 함께 윷놀이, 사당패놀이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져 자연스럽게 지역의 정보가 소통하는 문화 매개 공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터 공간의 특성을 리좀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장터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현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지역 문화의 단절을 극복하고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문화 매개 공간으로서의 장터의 미래적 가치를 찾고자 한다.(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화 매개 공간으로서의 전통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 장터의 재생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문헌적 고찰을 통해 리좀의 특성과 문화매개공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둘째 한국 전통 장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화 매개 장소로서의 공간 특성을 리좀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셋째,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장터의 재생화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문화매개 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특성은 첫째,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접속체계로서의 공간이다. 둘째, 장터는 상품을 구매하는 기능으로 만들어진 장소이지만, 다양한 놀이와 제의적 활동 등 이질적인 요소의 문화 활동들이 자유롭게 접속하여 장소의 의미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탈 영토화 된 공간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장터 공간은 열린 공간체계로서 배타적인 이항성도 작동시키지 않으며, 공간의 영역이 확대 축소가 가능한 유연한 경계의 공간이었다. 또한 모두가 공간을 점유하여 사용하는 공유가치로서의 문화매개 공간이었다. (결론) 전통사회의 정서적 , 사회적, 정신적 풍요로움은 오늘날 문화공간으로서의 미래가치를 형성하게 만든다. 장터에서 보여 지는 접속성의 원리, 이질성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통접의 원리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문화매개공간의 진정한 사용가치를 만들어 내었다.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장터 재생화의 방향성은 자유로운 접속체계로서의 열린 공간과 참여주체로서 형성되는 커뮤니티 공간의 성격을 지녀야 하며, 하드웨어적인 물리적인 공간구축보다 소프트웨어적인 활동프로그램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용가치로서의 공간이어야 한다. 이처럼 장터의 리좀적 특성은 일상공간에서 자유로운 문화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의 잠재적 가능성과 자생적인 커뮤니티 활동공간으로써 문화매개 공간의 미래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문화매개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Marketplace's Spatial Characteristics as culture Intermediate Space in Rhizomatic Perspectiv-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유진형-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6.11.5.2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1, no.5, pp.29 - 38-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29-
dc.citation.endPage3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15812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marketplace-
dc.subject.keywordAuthorrhizome-
dc.subject.keywordAuthorculture Intermediate Space-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dc.subject.keywordAuthorShared Value-
dc.subject.keywordAuthor장터-
dc.subject.keywordAuthor리좀-
dc.subject.keywordAuthor문화매개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커뮤니티-
dc.subject.keywordAuthor공유가치-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