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영상설치를 통한 기억의 장소 보존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화랑대역을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contributor.author유진형-
dc.date.available2020-07-10T06:22:54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462-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로 인해 많은 장소들이 더 이상 사용가치가 없다고 판단되어 존재의 의미조차 없어졌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모든 장소에는 기억이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보존 가치가 있어서 지켜야 하는 기억의 장소들이 있다. 특히 화랑대역과 같은 장소는 오랜 기간의 기억이 있는 기억의 장소로서 고유한 의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하고자 노력해야한다. 그러한 장소에 축적된 장소 기억은 역사적인 의의뿐만 아니라 현재에 활력을 주는 힘을 갖는다. 기억을 살려내어 공간을 활성화시킨다면 기억의 장소는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대의 많은 장소들이 기억의 장소로서 보존되어야 하는 당위성 제시와 장소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모색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기억의 장소와 장소 기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화랑대역을 분석한다. 장소기억과 영상매체의 관계를 알아보고 장소 기억을 표현한 영상이 어떻게 장소 기억을 현현하는지 분석한다. 영상에 나타나는 기억표상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장소가 활성화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화랑대역 보존의 의의를 높이고 공간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상 설치를 제안한다. 역사적 장소에 영상을 설치하여 연출한 사례를 통해 영상 매체를 이용한 기억의 장소 보존과 활성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결과) 역사적 장소는 기억의 층위가 두터운 기억의 장소로 역사적인 의미와 더불어 사회적인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존되어야 한다. 기억의 장소는 고유의 분위기를 가지는데 진정한 보존을 위해서는 이러한 분위기와 기억을 살려내어야 한다. 영상은 기억의 분위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현현할 수 있는 매체이다. 영상 이미지는 장소 기억 표상으로서 과거 장소를 현재에 존재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영상은 관객이 과거를 회상하게 하고 경험을 떠올리게 한다. 따라서 영상을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장소와 인간의 관계를 현재 시점에서 재생하여 공간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장소 정체성을 기반에 두고 있을 때,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새로운 가치를 다양한 방면에서 생산할 수 있다. (결론) 화랑대역처럼 오랜 시간 동안 기억이 축적되어 있는 기억의 장소는 보존되어야 하며 고유의 장소성을 살릴 수 있도록 활성화되어야 한다. 장소성을 고취시키기 위해서 장소기억을 생생하게 현현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사용한다면 기억의 장소는 현재의 존재로서 가치를 더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기억의 장소가 보존의 의의를 확립하고 영상 매체 설치를 통한 역사적 장소의 공간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바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영상설치를 통한 기억의 장소 보존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화랑대역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Preservation and Vitalization of Place of memories Using Visual Media - Focused on Hwarangdae Station --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유진형-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6.11.4.1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1, no.4, pp.121 - 128-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21-
dc.citation.endPage12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13645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regeneration of places-
dc.subject.keywordAuthorPlace of memories-
dc.subject.keywordAuthorPlace memory-
dc.subject.keywordAuthorRepresentation of place memory-
dc.subject.keywordAuthorVideo installation-
dc.subject.keywordAuthor장소가치 재생-
dc.subject.keywordAuthor기억의 장소-
dc.subject.keywordAuthor장소기억-
dc.subject.keywordAuthor장소기억 표상-
dc.subject.keywordAuthor설치영상-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