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의 주산기 사망률의 감소 경향: OECD 국가와의 비교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동훈-
dc.contributor.author이경석-
dc.contributor.author정성훈-
dc.contributor.author최용성-
dc.contributor.author한원호-
dc.contributor.author장지영-
dc.contributor.author배종우-
dc.date.accessioned2021-08-12T06:27:00Z-
dc.date.available2021-08-12T06:27:0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sn2508-4887-
dc.identifier.issn2508-489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7062-
dc.description.abstract목적 : 한국에서 주산기 사망률은 과거 1996년 이전에는 개인 연구자들이 보고해왔으나, 1996년부터 보건복지부에서공식 발표를 시작하였고, 2007년부터는 한국 통계청이 매년 공식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주산기 사망률을 연도별로 살펴봄으로서 최근 감소 경향을 관찰하고, OECD국가의 주산기 사망률 치와 비교하였다. 또한 주산기 사망률 정의와 계산 방법 및 사용에 있어서 국제적인 추세를 조사하여, 향후 한국에서 주산기 사망률 산출법의 통일성을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주산기 사망률 개선을 위한 향후 주산기 의료의 발전시켜야 할 부분의 검토도 함께 하고자 한다. 방법 : 한국에서 1996년 이전의 주산기 사망률은 개인보고들을 취합하였고, 1996년 이후 것은 보건복지부와 한국 통계청의 보고에서 취합하였다. OECD국가의 자료는 Health Data 2010을 참고하였다. 한국 주산기 사망률의 시대적 변화의추세를 살펴 보아 현 수준을 파악하고, OECD 국가의 자료와 비교해보았다. 결과 : 지난 50년간 한국의 주산기 사망률은 크게 개선되었다. 1960년대 약 60, 1970년대 약 35, 1980년대 약 30이었다. 1996년 이후에서 한국 공식 주산기 사망률(주산기 사망률 중에서 임신후기 태아 사망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 조기 신생아 사망이 차지하는 부분)은 1996년 6.0 (2.6, 3.4), 1999년 5.2 (2.6, 2.6), 2002년 4.6 (2.4, 2.2), 2005년 4.2 (2.0, 2.2),2006년 3.6 (1.8, 1.3), 2007년 3.7 (2.4, 1.3), 2008년 3.6 (2.3, 1.3), 2009년 3.4 (2.2, 1.2)으로 해마다 주산기 사망률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 한국의 주산기 사망률은 OECD국가의 수준에서 볼 때, 상위에 위치하는 향상된 수준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한국에서 주산기 사망률은 계속 감소되어 현재 좋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고무적이다. 향후 주산기 사망률의 더욱 향상을 위하여 신생아 전원 시스템, 산모 전원 시스템, 주산기 의료센터 확립, 3차 및 2차 주산기 의료센터 확립, 신생아 추적관리 시스템, 주산기 의료센터의 질 관리, 신생아 주산기 연구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대한주산의학회-
dc.title한국의 주산기 사망률의 감소 경향: OECD 국가와의 비교-
dc.title.alternativeDecreasing Pattern in Perinatal Mortality Rates in Korea: In Comparison with OECD Nation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Perinatology, v.22, no.3, pp 209 - 220-
dc.citation.titlePerinatology-
dc.citation.volume22-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09-
dc.citation.endPage220-
dc.identifier.kciidART00159547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health-
dc.subject.keywordAuthorEpidemiological methods-
dc.subject.keywordAuthorVital statistics-
dc.subject.keywordAuthorPerinatal mortality-
dc.subject.keywordAuthorPerinatal mortality rat-
dc.subject.keywordAuthor공중보건-
dc.subject.keywordAuthor역학적 방법-
dc.subject.keywordAuthor인구동태 통계-
dc.subject.keywordAuthor주산기 사망-
dc.subject.keywordAuthor주산기 사망률-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Pediatr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