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과 교육 인식 및 제고 방안: KJ법을 통한 사례 연구Extra-Curricular Staff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A Case Study through the KJ Method

Other Titles
Extra-Curricular Staff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A Case Study through the KJ Method
Authors
김정민박애스더
Issue Date
Aug-2022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Extra-curricular staff; College; KJ method; Extra-curricular; Perception;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대학; KJ법; 비교과 교육; 인식 제고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15, pp 1 - 18
Pages
18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2
Number
15
Start Page
1
End Page
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1308
DOI
10.22251/jlcci.2022.22.15.1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에 대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비교과 경험이 있는 팀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과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16명의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팀장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이질적인 정보로부터 새로운 발상을 이끌어 내기 위한 KJ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KJ법의 분석 과정은 라벨 만들기, 그룹 편성, 도해화, 서술화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결과 KJ법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와 팀장의 비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라벨 수가 많은 것부터 보면,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는 관리 운영 방안(58), 문제 상황 파악(38), 운영 실태(30), 운영 성과(29), 운영의 어려움(25), 운영 노력(13)의 순이며 이는 총 193개의 라벨로 구성된 6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 그룹 2개, 4단계 그룹 3개, 3단계 그룹 1개다. 팀장은 관리 운영 방안(33), 운영 성과(19), 문제 상황 파악(16), 비교과 인식(7)의 순으로 그룹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총 75개의 라벨로 구성된 4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2단계 그룹 각 1개다. 결론 본 연구의 시도와 결과는 향후 효율적으로 비교과 교육을 운영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략을 세우는데 구체적인 정보를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yangseol Nanum >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ung min photo

Kim, Joung min
College of Hyangseol Nanum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