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edia Message Literacy Competencies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edia Message Literacy Competencies
Authors
심미선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한국언론정보학회
Keywords
media-message literacy competency; media panel data; demographic variables; self-esteem; active cognitive disposition;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미디어패널데이터;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아존중감; 적극적 인지성향
Cita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v.116, pp 38 - 76
Pages
39
Journal Title
한국언론정보학보
Volume
116
Start Page
38
End Page
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2038
ISSN
1598-3757
2734-0201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은 어떤 수준이며, 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관심을 주목하였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수준은 성, 연령, 지역 등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배경요인을비롯하여 다양한 미디어 활동, 자아존중감, 적극적 인지성향과 같은 내적 요인이 한 개인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를 설명하는 데 얼마만큼의 설명력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에 실시한 미디어패널 데이터를 사용했다. 또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를 콘텐츠 구분역량, 비판적 정보 이해역량, 메시지 이해역량, 미디어이미지 평가역량의 4개 차원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은 5점 만점에 M = 2.97로 낮게 나왔다. 또 예상대로 남성이여성보다, 그리고 젊을수록 높게 나왔다. 세대별로 보면 1인 가구보다는 부부+자녀로 구성된 2세대 가구에서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이 높게 나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역별 차이도 흥미롭게 나왔는데, 강원지역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다. 또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콘텐츠 구분역량이 M = 3.28로 가장 높았고, 그 외 비판적 정보 이해역량, 메시지 이해역량, 미디어이미지 평가역량은 M = 2.76 ∼ 2.88 사이로 3.0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개인차 변인인 자아존중감의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왔고, 60대 이상에서는 적극적 인지성향이 인구사회학적 배경요인보다 설명력이 높게 나왔다. 또 다양한 미디어이용의 영향력은 젊은 층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나이든 사람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m, Mi seon photo

Shim, Mi seon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