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by University Students
- Other Titles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by University Students
- Authors
- 노양진; 박동성
- Issue Date
- Oct-2024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생성형 AI; 현상학적 연구; 질적 연구; AI 리터러시; Generative AI; Phenomenological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I Literacy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4, no.20, pp 175 - 194
- Pages
- 20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4
- Number
- 20
- Start Page
- 175
- End Page
- 19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7082
- ISSN
- 1598-2106
2671-776X
-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생 5명(남학생1명, 여학생 4명)과 비수도권 대학생 7명(남학생 4명,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서면과 비대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 개인이 아닌 공통의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7단계로 구성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공진화’라는 경험의 본질 하에 5개의 의미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의미주제는 ‘뉴미디어 알아가기’, ‘유용하지만 위험한 존재’, ‘생성형 AI와 역할 분담’, ‘학습환경 변화에 적응’, ‘생성형 AI와 공존하는 삶 모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4개의 의미주제는 ‘생성형 AI와 호흡 맞추기’, ‘나만의 프롬프트 사용방법 만들기’, ‘무생물의 한계’, ‘불필요한 학습활동의 반복’, ‘불완전한 학습 도우미’, ‘나만의 튜터’, ‘학습시간 단축’, ‘나만의 사용범위 정하기’, ‘또 하나의 팀원’, ‘수동적 뉴미디어 수용자’, ‘현실인식과 뉴미디어 수용’, ‘생성형 AI 활용 역량 증진’, ‘사용목적에 따른 생성형 AI 선택’, ‘인간의 고유영역과의 경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대학생들이 뉴미디어인 생성형 AI를 자신의 학습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생 대상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롬프트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한다. 둘째, 생성형 AI를 학습활동의 메인이 아닌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셋째, 생성형 AI의 속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넷째, 이용 윤리에 관한 교육을 제공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Global Business > Department of Global Culture Industr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