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연극교과 PCK(D-PCK)신장을 위한 연극교사교육 프로그램 탐색 - <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심-
dc.contributor.author설유정-
dc.contributor.author오세곤-
dc.date.accessioned2021-08-11T08:40:54Z-
dc.date.available2021-08-11T08:40:54Z-
dc.date.created2021-06-17-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sn1738-155X-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3501-
dc.description.abstract교육의 질을 교사가 결정한다면 교사의 질은 교사교육이 결정한다. 결국 교사교육의 질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소가 된다. 그러나 교사양성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전문성을 갖춘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며, 학교 현장과 연계성이 부족하고, 직무를 수행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비판받고 있다. 교사교육과정이 배태하고 있는 현안 문제는 곧 교사 전문성과 직결되며 교사 전문성의 핵심인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형성 및 신장의 문제로 귀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신장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과교육영역의 &lt;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gt;을 중심으로 연극교과 PCK(D-PCK)의 신장을 위한 연극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타 교과의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다음의 네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사교육의 방향을 탐구하였다. 둘째, 교사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셋째, 교사교육의 구성 원리를 모색하고 강좌유형을 제시하였다. 넷째, &lt;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gt;의 교육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차시별 교육내용과 D-PCK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극교사교육의 방향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교육의 실제에 바탕을 둔 교육’, ‘실천을 전제로 한 반성적 교육’, ‘D-PCK 구성요소 중심의 교육’, ‘배움 중심수업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극교사교육의 목표는 ‘반성적 실천가’, ‘실천적 연구자’, ‘교육과정 개발자’로 세웠다. 연극교사교육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하여 여섯 가지의 구성 원리와 이론적 강의를 비롯하여 수업 관찰, 반성적 모의 수업, 수업 나눔, 반성적 글쓰기 등의 강좌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lt;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gt;과목의 교육방향과 목표, 운영상의 고려사항을 설정하였으며, 차시별 주제와 교육내용, 이에 따른 중점사항과 강좌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차시별 교육내용과 D-PCK 구성요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는데, &lt;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gt;의 차시별 교육내용은 D-PCK 구성요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교육내용지식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nt’, ‘연극표현기술skills to express dramas’, ‘교육방법지식knowledge of pedagogy’, ‘평가지식knowledge of evaluation’, ‘연극학습지식knowledge of learning dramas’과 같이 실제 수업 수행 관련 D-PCK에 중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차시별 교육내용이 수업의 실제를 경험하고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증명하지만 D-PCK 구성요소의 균형적 형성과 신장을 위하여 교과교육영역의 &lt;연극교과교육론&gt;, &lt;연극교과 논리와 논술&gt; 등의 교육내용을 계열화하여 차별적으로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향후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극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합성, 효과성 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D-PCK를 신장하기 위한 &lt;연극교과교육론&gt;, &lt;연극교과 논리와 논술&gt; 등 여타 교과교육영역 과목에 대한 연구가 계열성을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하며, 아울러 D-PCK 구성 요소별 신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및 적합성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연극교육학회-
dc.title연극교과 PCK(D-PCK)신장을 위한 연극교사교육 프로그램 탐색 - &lt;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gt;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xploration on Dram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PCK for Drama Subject-Matter Education (D-PCK) - Focusing on &lt;Drama Course Curriculum’s Materials Analysis and Instruction Method&gt;-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세곤-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연극교육연구, v.36, no.36, pp.177 - 250-
dc.relation.isPartOf연극교육연구-
dc.citation.title연극교육연구-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36-
dc.citation.startPage177-
dc.citation.endPage25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601464-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Preservice Teacher-
dc.subject.keywordAuthorPCK for Drama Subject-Matter Education(D-PCK)-
dc.subject.keywordAuthorTeacher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Drama Course Curriculum’s Materials Analysis and Instruction Method-
dc.subject.keywordAuthorProfessionality-
dc.subject.keywordAuthor예비교사-
dc.subject.keywordAuthor연극교과 PCK(D-PCK)-
dc.subject.keywordAuthor교사교육-
dc.subject.keywordAuthor연극교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