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동우회순회연극단(1921.7.3~8.18)’의 활동상과 신극사적(新劇史的) 의미 고찰 -당대의 언론자료 및 사료에 기반하여-A Study of ‘Dongwoohoesunhoeyeongeukdan (1921.7.3~8.18)’s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Modern Theatre -Based on the Press Mentions and Historical Documents at that Time-

Other Titles
A Study of ‘Dongwoohoesunhoeyeongeukdan (1921.7.3~8.18)’s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Modern Theatre -Based on the Press Mentions and Historical Documents at that Time-
Authors
성명현
Issue Date
2018
Publisher
역사문화학회
Keywords
도쿄조선고학생동우회; 동우회 산하 극예술협회; 동우회순회연극단; 연출가 중심의 해석적 연출; 지식인 중심의 신극운동; 사회정치적 참여행위로써 관극; Tokyochosungohaksaengdongwoohoe; Geukyesulhyobhoe as affiliated group under Dongwoohoe; Dongwoohoesunhoeyeongeukdan; Stage manager(director)-oriented interpretive directing; Intellectual- oriented Shingeuk movement; Theatergoing as socially and politically participating act.
Citation
지방사와 지방문화, v.21, no.2, pp.315 - 379
Journal Title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ume
21
Number
2
Start Page
315
End Page
3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6478
DOI
10.23013/localh.2018.21.2.010
ISSN
1229-9286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치하 조선의 신극운동 역사상 선구적인 단체로써 ‘동우회순회연극단’의 공연활동상과 신극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도쿄조선고학생동우회(이하 동우회)는 재일 조선인 고학생과 노동자들의 구제기관을 표방한 최대 규모의 친목적 노동단체였다. 그리고 극예술협회(이하 극협)는 동우회 산하의 소모임이되 자체적으로 운영될 만큼 독자성을 띤 단체로 파악되었다. 동우회의 수뇌들은 동우회순회연극단(이하 연극단)의 진행부를 맡았으며 공연부는 극협 측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연극단의 공연 프로그램은 음악과 연극 및 강연으로 구성되었고, 연극의 공연목록은 조선인의 식민현실에 대한 자각과 근대적 자아의 각성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선정되었다. 조선에서 연극단의 ‘실제적 공연기간’은 38일간이었으며, 사교위원들의 활동기간을 포함한 ‘실제적 활동기간’은 47일간이었다. 한편, 무대감독 김우진은 연극의 사회적 효용성을 중시한 ‘공리적 연극관’과 ‘무대감독(연출가) 중심의 해석적 연출관’의 소유자였다. 하지만 그는 연극제작 과정에서 실천적 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무대감독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극단의 공연에는 신게키계 배우 도모다 쿄스케(友田恭助)와 무대감독 히지카타 요시(土方與志)를 통해 ‘근대적 신게키’의 연기 및 연출적 경향이 적잖이 그리고 직접적으로 투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에서 연극단의 순연활동은 ‘지식인들 중심의 문화운동이자 신극운동’으로 특화된 성격을 지녔다. 또한 그 반향은 ‘사회적 차원의 공적 후원’에 버금가는 양상을 드러냈다. 게다가 연극단 공연에 대한 일반대중과 관객의 수용태도는 예술적 오락적 향유의 차원을 넘어서 항일구국의 문화운동에 동참하는 ‘사회정치적 참여행위’와 다를 바 없었다. 노동단체 동우회를 통한 신극운동은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역사적 현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연극의 사회적 유용성이 극대화된 점과 처음부터 식민현실을 폭로하는 창작극이 공연된 점은 조선의 신극운동이 지닌 특수성이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