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기숙사 거주 경험 여부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Extra-curricular and Dormitory Experience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Other Titles
The Effect of Extra-curricular and Dormitory Experience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uthors
김정민구아름
Issue Date
2018
Publisher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Keywords
Extra-curricular; Experience; Dormitory;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비교과; 경험; 기숙사; 대학생활만족도
Citation
교육문화연구, v.24, no.4, pp 381 - 400
Pages
20
Journal Title
교육문화연구
Volume
24
Number
4
Start Page
381
End Page
40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6571
DOI
10.24159/joec.2018.24.4.381
ISSN
1598-9283
Abstract
대학의 입학자원 감소로 인해 재학생의 이탈률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절실하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노력과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기숙사 거주 경험 및 만족 여부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교과활동과 기숙사 거주 경험이 있는 재학생에게 설문을실시하였으며 총 1,951개 설문이 수집되었으며, 결측치 값 및 무성의하게 답한 설문을 제외한 1,919개가 최종 분석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활만족도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6개의 요인(학생복지, 모교, 학습지원, 교우관계, 교수, 경제적 지원)을 종속변인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비교과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는 경제적 지원을 제외한 모든 만족도 요인에서 경험 집단이비경험 집단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거주 경험 여부에 있어서도 경험 집단이 비경험 집단보다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경제적 지원을 제외한 학생복지, 모교, 교우관계, 교수 간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복지 요인이 대학생활만족과, 교육과정, 비교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대학의 입학 충원율 및 이탈률을방지하기 위한 서비스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 추후 학생 지도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yangseol Nanum >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ung min photo

Kim, Joung min
College of Hyangseol Nanum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