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자고등학교 교실냄새에 대한 뇌파반응Electroencephalography Activities Influenced by Classroom Smells of Male High School

Other Titles
Electroencephalography Activities Influenced by Classroom Smells of Male High School
Authors
류현고우형김정우김수린김민경
Issue Date
Sep-2013
Publisher
한국감성과학회
Keywords
교실냄새; 발냄새; 머리냄새; 뇌파분석; 고등학생; classroom smells; foot odor; hair odor; EEG; male high school
Citation
감성과학, v.16, no.3, pp.387 - 396
Journal Title
감성과학
Volume
16
Number
3
Start Page
387
End Page
39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2078
ISSN
1226-8593
Abstract
남자고등학교 교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발냄새, 머리냄새, 쉰냄새, 땀냄새)와 대표악취물질(부티르산, 암모니아)에 대한 뇌파반응을 분석하였다. 냄새자극 시험은 30∼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교실냄새와 대표악취물질의 자극에 대한 뇌파 지표들의 변화 경향은 측두엽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 악취물질의 측두엽에서 반응은 바탕뇌파대비 상대알파파를 0.04∼0.13 감소시켰고, 상대베타파 0.02∼0.06, 상대감마파를 0.03∼0.09 증가시켰다. 교실냄새들과 두 악취물질들은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를 감소시켰고, 각성과 긴장 및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고베타파(18∼30Hz)와 불안과 흥분상태를 나타내는 감마파(30∼50Hz)를 활성화시켰다. 냄새물질들의 뇌 각성 및 자극정도는 머리냄새 > 부트르산 > 발냄새, 쉰냄새 > 암모니아> 땀냄새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실냄새가 과도한 각성이나 긴장을 유발하므로 수업 집중력이나 학습능력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