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기도 광주군지역의 3ㆍ1운동The 3ㆍ1 Movement in Kwangju-kun, Gyeonggi-do

Other Titles
The 3ㆍ1 Movement in Kwangju-kun, Gyeonggi-do
Authors
황민호
Issue Date
Sep-2012
Publisher
한국민족운동사학회
Keywords
Kwangju-kun; Tongbu-myon; Seobu-myon; Sonpa-li; Ohpo-myon; Gyeongan-myon; union protest; torch protest; 광주군; 동부면; 서부면; 송파리; 오포면; 경안면; 연합시위; 횃불시위
Citatio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no.72, pp.49 - 82
Journal Titl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Number
72
Start Page
49
End Page
8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2908
ISSN
1226-9980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하 광주군지역에서 전개된 3ㆍ1운동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며, 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광주군에서의 3ㆍ1운동의 확산은 광주군이 서울과 인접한 지역이라는 점에서 서울에서의 3ㆍ1운동을 직접 목도한 인물이나 광주군지역에서 교세를 확장해 가고 있었던 천도교교단의 활동 등이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광주군지역이 지형적으로 험준하고 경기도 20개 군 가운데 섬 지역이 강화도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철도가 통과되지 않는 지역이었다는 점과 근대적 교육기관의 설립이 적어 상대적으로 3ㆍ1운동을 주도할 만한 학생세력이 부족했다는 것 등은 이 지역에서의 3ㆍ1운동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촉발되는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광주군에서의 만세운동은 4월 26일 중대면 송파리에서의 시위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으며, 이후 동부면과 서부면지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4월 6일에 전개되었던 실촌면의 시위에서도 시위대가 면사무소에 집결하여 면장에게 만세운동에 참여할 것 등을 요구하는 등 일관되게 과격한 시위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밖에 광주군지역 3ㆍ1운동의 상세한 전개과정에 대해서는 객관적 사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크게 보았을 때 중대면을 포함한 동부면과 서부면에서의 3ㆍ1운동은 시기적으로 보아 광주군지역의 3ㆍ1운동을 선도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향후 광주군 지역의 3ㆍ1운동에 대한 연구는 보다 심층적인 자료의 검토와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운동의 전개 양상 및 주도세력에 대해서도 객관적 자료에 입각한 명확한 사실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Min Ho photo

Hwang, Min Ho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Histor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