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연영상예술에서의 구성요소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uthors
나정조이보라김규정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공연예술; 영상예술; 미디어아트; 인터랙티브; performing art; video art; media art; interactive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0, no.01, pp.157 - 165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0
Number
01
Start Page
157
End Page
16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6479
ISSN
1598-8635
Abstract
공연영상예술이란 시대의 변화에 맞춘 예술의 또 다른 장르라 할 수 있다. 공연예술과 영상예술의 결합에 뉴미디어아트의 특징인 상호소통을 강조한 형태의 장르이다. 뉴미디어아트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시도가 공연영상예술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으나, 이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계의 기존의 것과는 다른 독창적 형태의 공연예술에 대한 연구와 관객의 요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공연영상예술의 발전을 앞당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연영상예술 분석을 위하여, 첫째, 다큐멘터리식의 녹화 편집, 둘째, 의도된 영상 매체를 공연에 활용, 셋째, 실시간 비디오 아트의 발전된 형태로의 공연영상예술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공연예술의 특징인 시간·공간의 제약과 일회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공연영상예술만의 특징인 관객의 적극적 참여도와, 여러 요소간의 복합적 관계 형성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기술의 발달과 공연 수요자들의 영향으로 다른 형태의 공연영상예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연영상예술에 대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의 정의와 다양한 구성요소, 구체적 특징, 다양한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지금까지의 혼재된 개념으로 쓰고 있는 공연영상예술의 장르를 좀 더 분명히 하고, 앞으로의 발전된 형태의 공연영상예술에 대하여 논의 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연그룹들과 예술가들이 기존의 공연형식을 탈피한 새로운 형태를 제시한 예는, 새로운 공연영상예술의 제작에 대한 제작자의 표현 영역의 확대와 수요자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공연영상예술을 제시하여, 향후 문화컨텐츠의 다양성과 공연영상예술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Global School of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 jung photo

Kim, Kyu jung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Global School of Media)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