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부 지역 점토대토기 사회에 대한 다른 인식An Alternative View on the Clay-band Rim Pottery Communities of the Central Part of Korea

Other Titles
An Alternative View on the Clay-band Rim Pottery Communities of the Central Part of Korea
Authors
송만영
Issue Date
Aug-2019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중부 지역; 점토대토기; 이주; 인구 변동; 관계망; Central Region; Clay-band Rim Pottery; Migration; Population Fluctuation; Network of Relation
Citation
인문논총, v.76, no.3, pp.327 - 368
Journal Title
인문논총
Volume
76
Number
3
Start Page
327
End Page
36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5097
DOI
10.17326/jhsnu.76.3.201908.327
ISSN
1598-3021
Abstract
지금까지 중부 지역 점토대토기 사회는 점토대토기 집단의 이주설과, 이를 전제로 한 이주민과 재지민의 공존과 갈등, 그리고 교류 및재편이라는 틀 속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외래 집단의 이주가 광역의 지역 통합과 본격적인 계급적 복합사회로 변화하는 등과 같은 문화변동의 원인이 되었다고 본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의 논리 구조에 문제가없는지, 그리고 고고학 자료와 잘 부합되는 설명 틀인지 검토하고 그대안적 가설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점토대토기 집단의 이주설은 문헌의 역사 기록을 편년과 문화 해석의 전제 조건으로 하는 방법론과 특정의 유물복합체를 집단으로 이해하는 인식론이 결합되면서 주장된 것이지만, 실제 남한 지역의 인구 변동에는 확인되지 않은 실체이다. 또한 계통론적인 인식과 공존, 갈등설이 전제되어 점토대토기 유적편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검증이 이루어진 사례는 없으며, 주거지의중복 및 유물의 공반 관계에서 편년 오류가 확인되기도 한다. 필자는 그 대안으로 관계망설을 제안하였는데, 청동기시대 중기 이래의 인구감소, 대형취락의 해체에 이어 취락의 분산, 소형화와 혼합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재지 집단이 사회 통합과 계층화를 위하여 전략적으로 관계망을 형성하였다는 견해이다. 즉 재지 집단이 요동, 서북 지역, 그리고 중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의 관계망을 통해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문화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였고, 제장과 같은 지역 관계망을 통해그 문화를 확산하였다고 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Man Yeong photo

Song, Man Yeo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Histor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