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구 근대 물질문화의 유입과 경험의 공간으로서 초기 선교사 사택 연구open accessA Study on the Early Protestant Missionary House in Korea as Agency of Influx and Experience of Western Modern Material Cultur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arly Protestant Missionary House in Korea as Agency of Influx and Experience of Western Modern Material Culture
Authors
이철
Issue Date
Dec-2020
Publisher
숭실사학회
Keywords
modernity; Western material culture; Protestant mission; missionary house; religion of wealth and prosperity; Korean church; church growth; 근대성; 서구 물질문명; 개신교 초기 선교; 선교사 주택; 근대성의 전파; 부와 번영의 종교; 한국 교회; 교회 성장
Citation
숭실사학, no.45, pp.107 - 126
Journal Title
숭실사학
Number
45
Start Page
107
End Page
12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0141
ISSN
2005-9701
Abstract
이 글은 조선에 입국한 초기 선교사의 사택을 통해 서구의 근대물질문명이 유입되고 경험되었음을 밝히는 종교사회학적 연구이다. 초기 선교사 사택들은 안정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이들은 본국에서 살았던 방식에 맞게 주택을 신축하거나 기존 주택을 매입해 개조하였다. 신축 시, 이들은 유럽풍 주택을 선호하였고, 기존 주택을 매입할 경우에도 내부는 서구식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가구부터 식료품에 이르기 까지 각종 서양 물품을 주택 내에 비치하여 이를 기반으로 서구식 삶을 유지하였다. 선교사 주택이 선교사들에게 사적인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때로 전도의 목적으로 자신들의 주거공간을 조선인들에게 개방하였다. 사택을 구경 온 조선의 일반 대중들은 서구의 자본주의와 물질문명의 결과물들을 직접적으로 목도하게 되었고, 이런 그들에게 선교사들은 서구의 물질적 번영을 기독교와 인과적 관계로 연결시키며 포교를 시도하곤 하였다. 이 같은 시도와 노력으로 인해 개신교는 조선인들의 의식 속에서 경제적 힘이나 풍요와 연결되었고, 이렇게 형성된 물질적 이미지는 이후 선교 활동이나 교회 성장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기독교와 물질문화의 연결은 때로 ‘라이스 크리스천’과 같은 문제를 일으켰고, 더 나아가 기독교가 청빈보다는 풍요와 번영의 종교로 자리 잡게 되는 토대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선교사 주택과 그 안에서 재현되었던 서구식 삶의 모습이 기독교의 물질적 이미지를 구축되는 데 있어 일정부분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ul photo

Lee, Chul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