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語頭 nV의 yV로의 變化에 대하여On the nV>yV in the word initial position

Other Titles
On the nV>yV in the word initial position
Authors
소신애
Issue Date
Mar-2014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Keywords
散發的 音變化; 作用과 反作用; 過度 分析; n 뒤 y 첨가; 어두 n 탈락; sporadic sound change; action and reaction; hyper-analysis; y-insertion after n; n-deletion in the word initial position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42, no.1, pp.93 - 120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42
Number
1
Start Page
93
End Page
12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0251
DOI
10.15822/skllr.2014.42.1.93
ISSN
1229-1617
Abstract
본고는 散發的 音變化의 하나인 ‘어두 nV의 yV로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어의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어두 nV>yV’의 예를 제시하고, 이 변화의 音韻論的 動因과 機制를 발화 해석 과정의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에는 ‘nV>*nyV>yV’와 같은 漸進的 變化가 존재하였다. 둘째, ‘nV>*nyV’는 ‘n 뒤 y 첨가’라는 산발적 음변화에 의한 것이며, ‘*nyV>yV’는 ‘어두 n 탈락’이라는 일반적 음변화에 의한 것이다. 셋째, 문헌 및 방언을 통해, ‘n 뒤 y 첨가’ 및 ‘n 뒤 y 탈락’이라는 음변화가 실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n 뒤 y 탈락’과 ‘n 뒤 y 첨가’는 ‘作用과 反作用’의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n 뒤 y 첨가’의 동인은 聽者의 발화 해석 과정에서 수행된 ‘過度 分析’에 있다. 여섯째, nV>nyV의 변화는 雙形 基底形의 單形化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에 ‘어두 n 탈락’이 적용되면, 결국 /nV/>/ny V/>/yV/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