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을 가진 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uthors
박태영
Issue Date
Jun-2014
Publisher
한국가족치료학회
Keywords
신경성 식욕부진증; 가족치료; 원가족; 전이; 의사소통방식; anorexia nervosa; MRI; Bowen; family of origin; psychodynamic family therapy
Citation
가족과 가족치료, v.22, no.2, pp.131 - 171
Journal Title
가족과 가족치료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131
End Page
171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0360
DOI
10.21479/kaft.2014.22.2.131
ISSN
1226-0118
Abstract
본 연구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진단을 받은 고등학생인 딸(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로서,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과, 가족치료자의 개입방법, 그리고 거식장애가 감소하게 된 요인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가족치료자는 내담자와 가족을 치료하는데 심리역동적 가족치료모델, MRI의 의사소통모델,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축어록을 중심으로 대화내용을 개념화하였고, 그 개념들을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본 연구는 가족치료 사례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대화내용의 서술과 탐구분석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효과메트릭스(Time-Ordered Effect Matrix)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내담자의 왜곡된 인지구조, 핵가족구성원들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 부모 원가족의 경험과 전수된 표현방식, 전이(transference), 내담자의 대응방식, 그리고 내담자의 대화상대자가 없다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료자는 개입기법으로 내담자 문제를 인식시키기, 재명명, 부부의 원가족 문화에 대한 입장 차이 설명,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해 왔던 방식에 대한 질문을 사용하였다. 셋째, 신경성 식욕부진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모녀간의 변화, 부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변화하려는 노력, 부부 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모의 인식과 변화, 시부모와 친정 부모로부터 내려오는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모의 인식, 부녀간의 의사소통방식의 변화, 그리고 내담자의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에 대하여 가족치료적인 접근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단일사례로서 보여주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Tai Young photo

Park, Tai Yo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