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工學的 글쓰기에서의 空間的 對象 記述 方法 硏究 -工學的인 글의 理解와 記憶 대한 實驗 硏究-A Study on Methods of Describing Spatial Objects in Engineering Writing -An Experimental Study on Comprehension and Memory-

Other Titles
A Study on Methods of Describing Spatial Objects in Engineering Writing -An Experimental Study on Comprehension and Memory-
Authors
오충연권은영이성수
Issue Date
Sep-2013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Keywords
engineering writing; long-term memory; spatial object; even- tuality; memory reconstruction; visualized imagery; episode; 공학 글쓰기; 空間的 對象; 事件性; 記憶 再構; 長期記憶; 心象; 揷話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41, no.3, pp.375 - 409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41
Number
3
Start Page
375
End Page
40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1726
DOI
10.15822/skllr.2013.41.3.375
ISSN
1229-1617
Abstract
이 연구는 工學的 內容의 說明文에서 공간적인 대상을 효과적으로 傳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長期記憶으로 轉換 시킬 수 있는 글의 記述 方式에 대해,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순수한 空間的 對象에 대한 기술은 全體的인 모습을 제시한 다음, 部分의 모양과 위치를 설명하는 下向式 기술 방식이 有利하였지만, 대상의 技能이나 作動體系 등을 함께 설명해야 할 경우에는 각 부분의 공간적 位置를 技能 및 作動體係와 結負지어서 기술하는 방식이 유리하므로, 단순히 하향식이 有利하다고 할 수 없었다. 實驗結果, 공학계열 학생들의 경우에는 주어진 言述 資料로부터 공간적 대상을 心象化하는 能力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서 優越하였으며, 이러한 심상화의 능력은 해당 대상의 기능이나 작동 체계에 대한 기억의 再構에도 注目할 만한 上昇效果를 가져 왔다. 이는 대상의 심상화를 事件性을 가지는 4次元的인 揷話로 轉換시키는 능력이 優越하기 때문인 것으로 分析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TC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ong soo photo

Lee, Seong soo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