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으)로서’ 문장 성분의 文章意味 構成Semantic roles of 'qualification' and sentence meaning constructions -on the basis of case marker, ‘(eu)ro(seo)'-

Other Titles
Semantic roles of 'qualification' and sentence meaning constructions -on the basis of case marker, ‘(eu)ro(seo)'-
Authors
임채훈
Issue Date
Dec-2012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Keywords
sentence meaning; qualification; status; semantic role; adverbial; syllogism; subject-predicate relation; sentence meaning; qualification; status; semantic role; adverbial; syllogism; subject-predicate relation; 文章意味; 資格; 地位; 意味役割; 副詞語; 三段論法; ‘이다’ 構文; 主述關係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40, no.4, pp.85 - 103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40
Number
4
Start Page
85
End Page
10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3051
DOI
10.15822/skllr.2012.40.4.85
ISSN
1229-1617
Abstract
이 論文은 從來 ‘資格’이나 ‘地位’의 意味役割을 한다고 본 ‘으로서’ 成分이 실제로는 문장의미 구성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으로서’ 성분은 다른 副詞語처럼 敍述語와의 意味關係를 통해 문장이 의미하는 事態의 細部的인 情報를 明細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으로서’ 성분은 主語와 主述關係를 맺으면서 서술어가 의미하는 명제와는 區別되는 명제를 構成한다. 더불어 ‘으로서’ 성분은 敍述語와도 주술관계를 맺으면서 또 하나의 명제를 구성한다. 이 두 가지 명제가 小前提와 大前提를 이루어 三段論法으로써 주어와 서술어가 意味關係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으로서’ 성분의 의미기능이라는 것을 밝혔다. 즉, ‘으로서’ 성분은 서술어와 대전제를 이루고 주어와는 소전제를 이룸으로써 結論的으로 주어와 서술어구가 의미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構成에서 벗어난 用例가 있었으나 이 역시 기본 구성에서 설명될 수 있는 變形과 擴張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m, Chae hun photo

Yim, Chae hu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