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흥부전>의 인물 형상 - 경판본과 <연의각>의 비교를 중심으로-The characters of “Heungbujeon”

Other Titles
The characters of “Heungbujeon”
Authors
장경남
Issue Date
Dec-2012
Publisher
한국고소설학회
Keywords
흥부전; 연의각; 흥부; 놀부; 주인공; 보조 인물; Heungbujeon; Yeonuigak; Heungbu; Nolbu; character; sub-characters
Citation
고소설연구, no.34, pp.65 - 98
Journal Title
고소설연구
Number
34
Start Page
65
End Page
9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3215
ISSN
1229-4896
Abstract
이 논문은 <흥부전>의 이본 가운데 기록 전승의 우위를 보이는 경판본 <흥부전>과 이해조의 <연의각>을 중심으로 작품에 형상화된 인물을 비교한 글이다.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그려진 흥부와 놀부의 형상을 비교해 보면, <연의각>에서 선과 악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흥부의 선함은 조상 묘에 제사를 지내는 장면, 놀부에게 맞고 돌아와 아내에게 변명을 하는 장면, 동네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는 장면, 결말 부분에서 놀부를 포용하는 장면 등에서 그 선한 형상은 심화되었다. 반면에 놀부의 형상은 재산 분배 장면, 흥부를 내쫓을 때와 양식 얻으러 온 흥부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장면,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는 장면, 부자가 된 흥부의 집에 찾아와 포악을 부리는 장면 등을 통해서 탐욕스러움에 포악함까지 갖춘 악한 형상으로 심화되었다. 흥부와 놀부의 선악이 심화되는 현상은 다양한 보조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가능했다. 보조 인물은 주인공의 인물 형상을 심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흥부와 관련된 인물은 흥부의 선한 형상을, 놀부와 관련된 인물은 놀부의 악한 형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경판 <흥부전>보다 <연의각>에 등장하는 보조 인물이 수적으로도 많고 등장 빈도도 높다. <연의각>에 더 많은 보조 인물을 등장시킨 것은 주인공의 성격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려는 의도와 함께 소설적 흥미를 고려한 때문이다. 소설이 대중적 독서물로 자리함에 따라 흥미 요소의 강화는 필요했던 것이다. 흥부의 선행과 놀부의 악행, 그리고 그에 대한 보답과 징벌은 서로 다르게 그려졌지만,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형상화된 흥부는 끝까지 선과 우애를 지향함으로써 그 대가로 복을 받았고, 반면에 놀부는 물질적인 욕심을 지향함으로써 패망하고 말았다. 소설 <흥부전>이 지향한 가치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 셈이다. 흥부와 놀부를 통해 선을 지향하는 가치관은 인간에게 필수적이라는 것과 물질을 중시하는 가치관은 지속될 수 없음을 동시에 보여준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ang, Kyung Nam photo

Jang, Kyung Nam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