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의 조선 전기 문학사 서술의 실상과 의의

Authors
장경남
Issue Date
2010
Publisher
민족문학사학회
Keywords
북한 문학사; 사회과학원; 조선문학사; 주체문학론; 민족적 관점; 실증적 태도; 애국주의; THE LITERARY THEORY; INSTITUTE OF SOCIAL SCIENCE; LITERARY HISTORY OF JOSEON; JUCHE LITERATURE; NATIONALISTIC VIEWPOINTS; EMPIRICAL DESCRIPTION; PATRIOTISM
Citation
민족문학사연구, no.42, pp.127 - 163
Journal Title
민족문학사연구
Number
42
Start Page
127
End Page
16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5201
ISSN
1227-0962
Abstract
이 논문은 북한의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에서 1991년에 펴낸 『조선문학사』15권 가운데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제3권의 문학사 서술 양상과 의의를 점검한 글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조선문학사』는 15, 16세기를 한 시기로 묶어 서술하였는바, 이 시기는조선전기에 해당한다. 조선 전기의 시대적 성격과 문학사적 배경에 대한 서술은 이전의문학사에 비해 좀더 구체적이면서도 다각적인 입장에서 이루어졌다. 무엇보다도 주체문학론에 입각한 민족적인 관점을 드러내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서술 방식은 15~16세기에대한 총론을 앞세우고, 각 갈래별 세부 서술 방식을 택하고 있다. 서술의 순서에 있어서도인민창작(구전문학)을 앞세우고, 국문시가, 한자시, 패설 순으로 변화를 주었다. 소설 발생론과 관련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점도 특징점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문학사는 1959년에 간행된 『조선문학통사』의 서술과 비슷하여 과거로의회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문학사 서술의 기본 입장이 인민적이고 진보적인 문학을중심으로 한 서술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문학사 서술의 태도가 인민적, 진보적인 관점 외에 민족적인 관점이 보완되었기 때문이다. 민족적 관점에 입각한 서술 태도는애국주의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전문학 작품에서 반일 애국주의를 강조한 것은 1910년대 신채호의 애국독립 지향의 작품과 1920년대 김일성의 항일혁명문학을 서술하기 위한것이다. 문학사가 연계적 계승 발전을 보인다는 점을 드러낸 것이다. 또 다른 서술의 의의는 실증적인 서술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다. 이전의 문학사에 비해 작가나 작품에 대한 엄격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서술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이 그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ang, Kyung Nam photo

Jang, Kyung Nam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