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 문학사와 악장Literary History of the North Korea and Viewpoint about Akjang

Other Titles
Literary History of the North Korea and Viewpoint about Akjang
Authors
조규익
Issue Date
Jun-2006
Publisher
온지학회
Keywords
악장; 조선문학사; 건국송가;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주체사상;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Akjang; Joseon Literary History; Song of Dynasty' s Foundation; Yongbi' eocheon' ga; Wolincheon' gangjigok; Ideology of Self-direction; Social Realism; Akjang; Joseon Literary History; Song of Dynasty' s Foundation; Yongbi' eocheon' ga; Wolincheon' gangjigok; Ideology of Self-direction; Social Realism
Citation
온지논총, no.14, pp.35 - 61
Journal Title
온지논총
Number
14
Start Page
35
End Page
61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8840
ISSN
2384-2253
Abstract
북한사회는 196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주체사상으로 무장하기 시작했고, 그 한 복판에서 만들어진 조선문학사(1977)는 부정적인 악장관을 보여준다. <건국송가>나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악장을 반동적 시가문학이라 낙인찍은 것도 이 책에서의 일이다. 북한의 관점에서 조선은 봉건왕조, 조선 건국의 주도세력은 바로 ‘반동적인 봉건 통치배들’인 것이다. 그런 만큼 그들이 체제찬양을 위해 만들어낸 악장을 긍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었을 것이다. 악장에 대하여 경직된 관점을 보여주던 조선문학사(1979)와 달리 조선문학사(1991)는 약간의 융통성을 보여준다. 이 책의 저자 김하명이 말한 요점은 세 가지다. 노래 자체가 조선말의 고유한 어휘를 많이 쓰려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터무니없이 현실을 미화하여 사상적 내용에서 반동적이며 무가치하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문으로 된 첫 서사시 형식의 작품이며 당시 역사 및 조선어 연구의 자료로 쓰일만한 효용가치를 지닌다는 점 등이 그것들이다. 악장에 대한 북한 문학사의 관점도 그들의 이념적 변화에 따라 약간씩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체제나 이념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악장에 대한 관점 또한 근본적으로 바뀔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사실은 악장에 대하여 ‘아부문학’이나 ‘무조건적인 송축문학’으로 몰아붙이며 작품의 내포적 의미를 애써 외면하는 남한 학자들의 생각과 흡사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