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30년대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간도의 의미Projected Meanings of 'Gan-do' in Gwang-soo Lee's novel in 1930's

Other Titles
Projected Meanings of 'Gan-do' in Gwang-soo Lee's novel in 1930's
Authors
한승옥
Issue Date
Sep-2004
Publisher
한국현대소설학회
Keywords
이광수; 삼봉이네 집; 간도; 중국인; 한인고용법; 민족개조론; Kwang-su Lee; [Sam-Bongine Jip]; Gan-do; the Chinese people; The employment law for the Koreans; the racial reconstructionizm; Kwang-su Lee; [Sam-Bongine Jip]; Gan-do; the Chinese people; The employment law for the Koreans; the racial reconstructionizm
Citation
현대소설연구, no.23, pp.47 - 68
Journal Title
현대소설연구
Number
23
Start Page
47
End Page
6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20185
ISSN
1229-3830
Abstract
필자는 이광수의 <삼봉이네 집>을 통해 1930년대 소설에 투영된 간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처음 이주 하는 간도에 대한 낯설음이 핍진하게 개진되고 있었다. 하지만 식민지 조선에서 살 수 없어 중국 땅 간도로 이주하면서도 중국인에 대한 경멸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같은 민족에게 사기를 당하며 고통을 받는 한민족의 실상이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것은 당대의 구조적 모순의 제시와 함께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적 사고가 드러난 결과라 하겠다.셋째, 중국인 지주에 대한 반감이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중국인 지주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넷째, 중국인 지주에 대한 폭력은 오히려 한인고용법을 자초하게 되고, 이를 통해 농노로 전락한 실제적인 예를 들어, 제도권 안에서의 순응적 태도를 권장하는 작가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었다. 다섯째, 공산주의에 대한 회의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었다. 구조적 모순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폭력이나 공산주의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조적 모순이 해결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었다. 이것은 그의 민족주의 사상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라 하겠다.이상에서 볼 때, 이광수는 그의 민족개조론적 사고와 당시 견지해 온 민족주의적 사상과 제도 내에서의 민족자주성 회복이라는 작가의식을 이 작품을 통해서 나타낸 것이라 결론 내릴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