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燕行錄에 반영된 千山·?巫閭山·首陽山의 내재적 의미-燕行 路程 연구의 일환으로-About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Qianshan, Yiwul?shan, Shouyangshan

Other Titles
About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Qianshan, Yiwul?shan, Shouyangshan
Authors
조규익
Issue Date
Mar-2004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Keywords
燕行錄; 千山; 巫閭山; 首陽山; 燕行 路程; 入社의 空間; 小中華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33, no.1, pp.153 - 179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33
Number
1
Start Page
153
End Page
17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20398
ISSN
1229-1617
Abstract
이 論文은 燕行錄에 나타난 千山巫閭山首陽山의 內在的 意味를 분석한 결과다. 燕行 參加者들의 理念이나 精神과 直結된다는 점에서 三山은 무시할 수 없는 路程들이다. 노정이란 사신 일행이 단순히 거쳐가는 物理的 空間만은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만남의 계기를 만들어 주며, 의식 있는 인사들에게는 그 자체가 의미 있는 공간으로 再現되기도 한다. 千山과 巫閭山은 燕行에 참여한 일부 先覺者들이 意識變化를 宣言하고 새롭게 태어나기 위한 入社의 장소로 揀擇된 空間이다. 朝鮮에서 갖게 된 假說 次元의 생각을 中國에서의 見聞을 통해 立證하는 단계를 거치고, 천산이나 의무려산 같은 空間을 찾아 ‘변할 수 없는’ 자신의 內面意識으로 置換시키는 데 成功한 것이다. 반대로 수양산은 기존의 理念的 慣性을 회복하고 自尊心을 보상받을 수 있었던 또 다른 空間이었다. 이런 점을 燕行 路程으로서의 三山이 지닌 文明史的 意義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