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 말음 체언의 통시적 변화 -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The Diachronic Change of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 Focusing on the Dialectal Data

Other Titles
The Diachronic Change of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 Focusing on the Dialectal Data
Authors
소신애
Issue Date
Jun-2018
Publisher
국어국문학회
Keywords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diachronic change; word-final vowel; effort of articulation; perceptual distinctiveness; peripheral vowel; ‘’ 말음 체언; 통시적 변화; 어말 모음; 조음적 노력; 지각적 변별성; 주변 모음
Citation
국어국문학, no.183, pp.37 - 66
Journal Title
국어국문학
Number
183
Start Page
37
End Page
6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1567
ISSN
0451-0097
Abstract
본고는 중세 국어 ‘’ 말음 체언을 유형별로 제시하고, 이들이 경험한 통시적 변화의 과정을 한국어 제 방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세 국어 ‘’ 말음 체언의 말음절이 현대 방언에서 주로 ‘이’나 ‘우’로 나타나는 경향에 주목하여, 이 같은 변화의 일반적인 방향과 변화의 기제 및 동인을 음운·형태론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개음절 체언의 말음절 모음으로 ‘이’나 ‘우’의 비중이 높은 경향은 어말 위치에서 조음적 노력을 최소화하면서 지각적 변별성은 극대화하려는 화자의 암묵적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이’, ‘우’는 모음 공간상 주변 모음이면서 고모음인 까닭에, 어말 모음으로서 최적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