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박순호본 가사 『ᄇᆡᆨ귀시』연구A Study on the Gasa 『Baekgusi』of Paksunhobo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asa 『Baekgusi』of Paksunhobon
Authors
정영문
Issue Date
Apr-2018
Publisher
온지학회
Keywords
『Baekgusi』(『귀시』); < A song that loves grandchildren> (< 롱손가> ); nurture; Relationship between grandfather and grandchild; Joseon Dynasty.; 『ᄇᆡᆨ귀시』; < 롱손가> ; 양육; 조손관계; 조선시대.
Citation
온지논총, no.55, pp.145 - 169
Journal Title
온지논총
Number
55
Start Page
145
End Page
16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1785
ISSN
2384-2253
Abstract
『ᄇᆡᆨ귀시』는 자손의 양육과 관련된 가사집이다. 이 가사집에 수록된 3편의 가사는 100구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가사와 구별된다. 손자가 태어난 것을 기념하여 지은 『ᄇᆡᆨ귀시』는 손자에 대한 사랑뿐만 아니라 창작 당시의 사회적 배경까지 제시하고 있다. 『ᄇᆡᆨ귀시』는 3,4(4,4)조의 율격을 지니고, 분량을 백구로 제한하고 있다는 특징 이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1) <롱손가>1과 2에서 사랑과 관련되는 명사형을 반복하여 리듬을 형성하고 있다. 그렇지만, <롱손가>3에서는 성리학적 교훈성을 강조한 결과 ‘-하면, -하라’는 용언을 반복 사용함으로써 실천과 교훈의 의미가 나타난다. 2) <롱손가>1과 2에서는 다양한 수사법을 활용하여 감정을 표출하는 반면에 <롱손가>3에서는 의미전달에 치중하고 있다. 3) 전고(典故)를 사용하는 목적도 손자에 대한 기대감을 제시하는 것에서 가족애를 권계하기 위한 것으로 변모하고 있다. <롱손가> 3편이 15년의 차이를 두고 지어졌기 때문에 1편과 3편에서 노래의 대상이 되는 손자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알 수 있다. 첫째 손자가 태어났을 때는 그 손자 자체에 대한 관심과 기대를 주로 표현하고 있지만, 3번째 손자가 태어났을 때 작가는 그들에게 일정한 거리를 두었기 때문에 교훈적인 성격이 강해졌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Young moon photo

Jeong, Young moo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