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베를린 <테러의 지형도>: 역사적 폐허에서 살아있는 기억의 터로»Topographie des Terrors« in Berlin: Von den historischen Ruinen zum vergegenwärtigten Erinnerungsort

Other Titles
»Topographie des Terrors« in Berlin: Von den historischen Ruinen zum vergegenwärtigten Erinnerungsort
Authors
구연정
Issue Date
Dec-2019
Publisher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Keywords
Topographie des Terrors; Gestapo; Form der Historisierung; historische Ruinen; Erinnerungsort; 테러의 지형도; 게슈타포; 역사화의 형식; 역사적 폐허; 기억의 터
Citation
독일어문화권연구, no.28, pp.11 - 35
Journal Title
독일어문화권연구
Number
28
Start Page
11
End Page
3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5406
DOI
10.32681/JGCL.28.1
ISSN
1229-7135
Abstract
과거 베를린의 게슈타포 구역으로 불렸던 프린츠 알브레히트 거리와 동명의 궁전 건축물이 사라지면서 나치 테러의 역사와 조직은 점차 독일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져갔다. 그러나 1980년대 들면서 시민사회의 노력으로 역사적 폐허를 기억의 터로 되살려낼 수 있었고 오늘날 과거 게슈타포 구역에는 나치 본부의 전체 지형을 알아볼 수 있게 전시한 <테러의 지형도> 옥외 전시관과 자료관을 만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망각에 빠져있었던 나치 테러의 장소가 어떻게 다시 기억의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었는지 그 기억과 반기억의 과정을 우선 살펴보고, 2010년에 개장된 자료관 <테러의 지형도> 및 옥외 전시관에 나타난 주요 전시 콘셉트와 함께 ‘가해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이 자료관 및 전시회의 모태가 되었던 1987년 <테러의 지형도> 전시회의 주요 콘셉트를 살펴보는 것이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가해자의 장소에서 가해자가 아니라 ‘희생자들을’ 떠오르게 하는 광범위한 기억의 풍경이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었는지 그 형식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Yeon Jeong photo

Gu, Yeon Jeo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