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록기술의 발전과 기억: 라이프로그와 디지털적 기억의 양면성 - 테드 창의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을 중심으로The Technology of Recording and Human Memory. The ambivalence of Digital Memory and Lifelog in Ted Chaing’s “The Truth of Fact, The Truth of Feeling”

Other Titles
The Technology of Recording and Human Memory. The ambivalence of Digital Memory and Lifelog in Ted Chaing’s “The Truth of Fact, The Truth of Feeling”
Authors
구연정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Keywords
라이프로그; 생체적 기억; 디지털적 기억; 테드 창;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 Lifelog; organic Memory; digital Memory; Ted Chiang; Truth of Fact; Truth of Feeling
Citation
문화와융합, v.44, no.9, pp.621 - 633
Journal Title
문화와융합
Volume
44
Number
9
Start Page
621
End Page
63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661
DOI
10.33645/cnc.2022.9.44.9.621
ISSN
2950-9742
Abstract
이 논문은 디지털 기기를 통한 자동화된 일상의 기록, 라이프로그의 기록방식과 디지털적 기억의 문제를 테드 창의 소설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상과 재구성에 기반하는 인간의 기억행위가 소프트웨어 검색 장치 리멤으로 보완된 미래에 작가는 인간의 생체적 기억이 점차 디지털적 기억으로 대체되는 현실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인간의 기억이 오류투성이라는 점, 디지털적 기억은 완전무결하며 정확하다는 점이 주목받는 가상의 현실에서 작가는 디지털 자기기록 형태가 인간의기록체계와 기억 형식에서 주도성을 띨 경우 인간의 기억과 정체성 구성에 나타날 변화에 대한 우려감을 새로운 매체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연관지어 전개시키고 있다. 이런 두려움은 화자가 준비한 또 하나의 이야기, 구전사회에 문자기록체계가 도입되면서 나타난 기억방식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공명한다. 이 논문은 기록기술의 발전과 기억방식의 변화를 고찰하는 한편, 디지털적 기억의 정확성이 어디에서기원하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오류투성이이며 감정적인 생체적 기억이 인간의 자서전적 서사 및 정체성 구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Yeon Jeong photo

Gu, Yeon Jeo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