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데이터화된 신체’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의 한계와 가능성 - 율리 체의 『범죄의 증거. 어떤 소송』을 예로Kritische Betrachtung zur Verdatung des Menschen und seinem sinnentleerten Ich in Juli Zehs Corpus Delicti. Ein Prozess

Other Titles
Kritische Betrachtung zur Verdatung des Menschen und seinem sinnentleerten Ich in Juli Zehs Corpus Delicti. Ein Prozess
Authors
구연정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독어독문학회
Keywords
디지털 자기기록 기술; 연결된 존재; 율리 체; 수량화된 자아; 데이터화; digitale Self-Tracking; vernetztes Wesen; Juli Zeh; Quantified Self; Verdatung
Citation
독어독문학, v.63, no.2, pp.71 - 92
Journal Title
독어독문학
Volume
63
Number
2
Start Page
71
End Page
9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662
DOI
10.31064/kogerm.2022.63.2.71
ISSN
1226-8577
Abstract
이 논문은 오늘날 상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자기기록 기술의 의미를 먼저 다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 기술이 오용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간의 존재론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기술은 센서를 통해 인간의 활동 및 신체 상태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수치로 기록하는 방식인데, 더 나아가 이 스마트 기술은 인간의 데이터화를 유도하고 인간의 디지털적 변형을 가져온다. 이 기술이 사회적 차원에서 오용될 경우 인간은 쉽게 감시와 착취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는 율리 체의 소설 『범죄의 증거. 어떤 소송』 (2009)에서 구체적으로 체현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화된 인간은 더 이상 자유로운 독립적 주체가 아니며, ‘아무런 의미도 없는 텅빈 자아’일 뿐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인간과 환경 모두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주의가 얼마나 맹목적이고 위험할 수 있는지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을 거부함으로써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을 회복할 수 있다고 암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식은 기술에 의해 매개되고 ‘연결된 존재’로서 인간의 가능성을 새롭게 조명하기보다는 결국 전통적으로 확립된 인간 개념에 기대어 파국을 대가로 한 인간 자유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Yeon Jeong photo

Gu, Yeon Jeo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