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인회계사 직업윤리 함양을 위한 제언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 Ethics of CPA

Other Titles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 Ethics of CPA
Authors
이문영권세원전규안김범준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한국회계학회
Keywords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professional ethics; accounting ethics education; ethical reasoning; ethics case; 공인회계사; 직업윤리; 회계윤리교육; 윤리적 추론; 윤리 사례
Citation
회계저널, v.31, no.6, pp.1 - 32
Journal Title
회계저널
Volume
31
Number
6
Start Page
1
End Page
3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3087
DOI
10.24056/KAJ.2022.08.001
ISSN
1229-327X
Abstract
본 연구는 공인회계사 직업윤리 강화를 위한 양성체계 제도개선안을 논한다. 현행 공인회계사 양성체계에서 윤리교육은 공인회계사시험에서 직업윤리를 출제하고 실무연수에서 관련 법규를 학습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규칙 중심의 주입식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덕개발에 관한 이론과 회계전문가 윤리에 관한 국제교육기준에서는 주어진 사안에서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문제를 구조화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도출할 수 있는 윤리적 추론(ethical reasoning)을 강조한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은 이미 윤리적 추론을 훈련할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도 공인회계사 직업윤리 강화를 위해서는 양성과정에 큰 변화가 필요하다. 우선 윤리적추론을 훈련할 수 있는 양질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윤리교육 확대를 위해 공인회계사시험 사전학점이수에서 윤리과목을필수로 지정하고, 실무수습은 사례 중심의 참여형 개발활동을 도입해야 한다. 공인회계사 직업윤리평가시험은 변호사시험의 법조윤리시험과 유사하게 위상을 높여 윤리의 중요성을 대내외에 알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인회계사 공익활동(pro bono)을 도입하여 공익에복무하는 가치를 체화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개선은 금융당국과 한국공인회계사회의 과감한 결단과 전폭적인 투자그리고 회계법인과 학계의 협력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 Kyu An photo

Jeon, Kyu An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Accou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