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 SNS이용 간의 모형 검증Testing a Model for Relationship Among Digital Literacy, Privacy Concerns, and SNS Use

Other Titles
Testing a Model for Relationship Among Digital Literacy, Privacy Concerns, and SNS Use
Authors
신지민류수민이성식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인문사회 21
Keywords
Key Words: Digital Literacy; Privacy Concerns; SNS Use; Privacy Paradox; Testing Model; 핵심어: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염려; SNS이용; 프라이버시 역설; 모형검증
Citation
인문사회 21, v.14, no.3, pp.5937 - 5948
Journal Title
인문사회 21
Volume
14
Number
3
Start Page
5937
End Page
594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4104
DOI
10.22143/HSS21.14.3.425
ISSN
2951-049X
Abstract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 SNS이용 간의 모형 검증신 지 민*ㆍ류 수 민**ㆍ이 성 식***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SNS이용간의 관계를 알기 위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검증한다. 연구 방법: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디지털 리터러시는 프라이버시 염려를 줄여 SNS이용을 높일 것인지,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오히려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고 SNS이용은 낮을 것인지,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 경우 프라이버시 염려와 SNS이용에 동시에 정(+)적 영향을 주고 프라이버시 염려와 SNS이용 간에는 아무 관계가 없는 것인지를 검증해 본다. 결론 및 제언: 분석결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SNS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프라이버시 염려와 SNS이용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SNS이용을 위해 프라이버시염려를 줄이기보다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키워야함을 제시한다. 핵심어: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염려, SNS이용, 프라이버시 역설, 모형검증 □ 접수일: 2023년 6월 19일, 수정일: 2023년 6월 25일, 게재확정일: 2023년 6월 28일* 주저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연구원(First Author, Researcher, KOSSADA, Email: slgm@naver.com)** 공동저자,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석사과정(Co-author, Master’s Course, Soongsil Univ., Email: dbtnals159@gmail.com)*** 교신저자, 숭실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oongsil Univ., Email: lss824@ssu.ac.k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ong Sik photo

Lee, Seong Sik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