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A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uthors
박아론박승민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Keywords
대학생;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Emotional Intelligence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30, no.6, pp.263 - 288
Journal Title
청소년학연구
Volume
30
Number
6
Start Page
263
End Page
28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4116
DOI
10.21509/KJYS.2023.06.30.6.263
ISSN
1229-698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진로상담의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총 201부의 자료를 SPSS 27.0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시행 결과, 정서지능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의 구체적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기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정서활용, 대인관계 기술의 네 가지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준비 과정을 다루는 상담에서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개인의 정서적 요인, 특히 정서지능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적 시사점 및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Seung Min photo

Park, Seung Mi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