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캐리커처(caricature)의 시학(詩學)적 가능성 -카를 로젠크란츠(J. F. K. Rosenkranz)의 이론을 중심으로-The Possibility of the Poetics of Caricature -By using J. F. K. Rosenkranz's theory-

Other Titles
The Possibility of the Poetics of Caricature -By using J. F. K. Rosenkranz's theory-
Authors
엄경희
Issue Date
Mar-2017
Publisher
한민족문화학회
Keywords
caricature; ugliness; aesthetics; exaggeration; form; unbalance; aggression; humor; satire; parody; allegory; individualization; usurption; downgrading; 캐리커처; 醜; 미학; 과장; 형상; 불균형; 공격성; 유머; 풍자; 패러디; 알레고리; 개체화; 찬탈; 하향화
Citation
한민족문화연구, v.57, no.57, pp.277 - 308
Journal Title
한민족문화연구
Volume
57
Number
57
Start Page
277
End Page
30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510
DOI
10.17329/kcbook.2017.57.57.010
ISSN
1598-9836
Abstract
본 논의는 캐리커처가 특정 시대를 지시하는 풍자적 인물화(그림)를 벗어나, 시인들의 언어에 의해서도 그 형상성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시학적 가능성으로서 ‘캐리커처’ 미학을 기반으로 김언희, 장정일, 서정주, 김기택 등의 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주로 ‘추의 미학’을 면밀하게 이론화한 카를 로젠크란츠의 이론을 중심으로 무엇을 캐리커처로 확정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연구 작업은 본질적으로 시 해석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 해석의 지평 확대를 위해 캐리커처에 주목한 까닭은 그것이 풍자나 알레고리, 패러디보다 더욱 강화된 추를 건드린다는 데 있다. 캐리커처의 본질은 캐리커처 미학을 결정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의 핵심은 대상을 ‘과장’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카를 로젠크란츠는 과장의 양적 한계를 제한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캐리커처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원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는 형상적 계기가 변형된 이미지에 남아있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는 과장적 표현이 단순한 확대‧강화 혹은 단순한 축소‧약화 등과 구분된다는 사실을 통해서 추의 변위를 생산해내는 캐리커처의 과장이 대상의 총체성과 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균형’, ‘비틀림’이어야 함을 그 성립요건으로 밝히고 있다. 한편 카를 로젠크란츠는 캐리커처의 근본적 생산 방식을 ‘개체화’와 ‘찬탈’, ‘하향화’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요약하고 있다. ‘개체화’란 원이미지와 비튼 이미지 사이에 발생하는 캐리커처가 구체적인 형상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념이나 추상적 의미를 반영한 것이 캐리커처가 아님을 뜻하는 것이다. 한편 캐리커처의 생산 방식으로서 ‘찬탈’과 ‘하향화’는 부족한 능력을 과장적으로 부풀리고 이미 있는 능력을 과장적으로 격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캐리커처는 ‘공격의 언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근대의 캐리커처는 실제 인물이나 인식 가능한 사회적 범주에 대한 논쟁적 도구로서 탄생”했다는 움베르토 에코의 말처럼 그것은 한 인물의 ‘사회화’와 관련한다. 그것은 기형화된 ‘추(醜)의 형상을 통해 우리 삶의 이면에 감추어진 현실의 추를 자유롭고도 유머러스하게 들추어낸다. 여기에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위대함과 고뇌를 우회적으로 보상받고자 하는 긍정의 꿈이 담겨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Eum, Kyoung Hee photo

Eum, Kyoung Hee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