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태종 조 樂調에 반영된 唐․俗樂 악장의 양상과 중세적 의미Aspects and Meaning of Tang · Folk Music Akjangs Reflected in King Taejong Jo’s Akjo(樂調)

Other Titles
Aspects and Meaning of Tang · Folk Music Akjangs Reflected in King Taejong Jo’s Akjo(樂調)
Authors
조규익
Issue Date
Jul-2017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악조(樂調); 악장; 고려 당악정재; 고려 속악정재; 송도(頌禱); 선어(仙語); 수보록(受寶籙); 금척(金尺); 동동(動動); 정읍사(井邑詞); Akjo(樂調); Akjang(樂章); Goryeo Tang Music Jeongjae(高麗唐樂呈才); Goryeo Folk Music Jeongjae(高麗俗樂呈才); Seoneo(仙語); Suborok(受寶籙); Geumcheok (金尺); Songdo(頌禱); Dongdong(動動); Jeong-eup(井邑)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55, pp.163 - 200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55
Start Page
163
End Page
20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966
DOI
10.20864/skl.2017.07.55.163
ISSN
1229-7429
Abstract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賓禮라 할 수 있는 태종조의 사신연이나 종친형제연 등에서 음악이 연주되고, 정재가 공연되었다. 고려 당악정재 5종 중 오양선․연화대․포구락 등 3종, 속악정재 3종 중 아박․무고 등 두 가지가 이들 의례에서 사용되었다. 각각의 정재들에는 언어적 메시지라 할 수 있는 악장들이 당연히 포함되는데, 고려 당악정재에 속하는 것들은 <碧烟籠曉詞>․<縹緲三山詞>(이상 오양선), <微臣詞>․<日暖風和詞>․<閬苑人閒詞>(이상 연화대), <三臺詞>․<洞天景色詞>․<兩行花竅詞>․<滿庭羅綺詞>(이상 포구락) 등 9편의 악장들과 고려 속악정재에 속하는 <動動>(아박 정재)․<井邑詞>(무고 정재) 등 두 편의 악장들이고, 조선조 창작 당악정재에 속하는 것들은 <受寶籙>(수보록 정재), <金尺詞>․<君王萬壽>(금척 정재) 등 세 편이다. 고려의 속악정재들은 형식이나 절차, 주제의식의 면에서 고려 당악정재들을 본뜬 것들이다. 특히 속악정재 아박의 악장인 <동동>은 ‘송도의 말’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仙語’를 본떴다고 했다. 고려 당악정재의 舞妓들은 서왕모 등 신선으로 등장하여 임금에게 不老長壽를 헌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 그들이 구사하던 말이 선어이고, 그 말들을 송도로 엮어낸 것이 당악정재 악장들의 문법이다. 이처럼 고려 당악정재 악장들의 경우 임금에 대한 조건 없는 송도로 일관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수보록>이나 <금척> 등 조선조 창작 당악정재들의 경우는 ‘천명에 의한 조선의 건국과 왕조영속의 당위성 과시’라는 분명한 현실인식과 목표를 주제의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즉 ‘왜 임금이 오래 살아야 하며, 왜 왕조는 영속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과 답을 작품에 드러내고자 한 것은 예악국가의 중세적 이데올로기를 구현하기 위해 임금의 능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조선의 건국에 원용된 논리는 주나라의 천명사상이었고, 敬天․保民․明德은 그 핵심이었다. 창업주가 천명을 받은 것과 그를 도울 유능한 신하들이 있다는 것은 왕조 영속의 절대적 조건들이었다. 그런 조건들을 갖춘 임금이야말로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 수 있는 것이고, 선정을 베푸는 임금의 장수를 축원하는 것은 臣民들의 자연스러운 소망일 수밖에 없었다. <수보록>의 ‘奠于新都 傳祚八百’이나 <금척사>의 ‘傳子及孫 彌于千億’은 창업주가 받은 천명을 전제로 왕조의 영속을 단언한 예언들이다. ‘이성계가 천명을 받아 새 왕조를 개국하고 한양으로 천도하면 자자손손 무궁하게 이어지리라’는 예언 즉 ‘천명으로 개국한 왕조가 무궁하게 이어짐’은 천명론을 통해 이들이 발견한 논리적 귀결이었고, 악장을 통해 반복․주입시키고자 한 정치적 표어이기도 했다. 아박정재 악장 <동동>의 경우 그 문법 자체가 당악정재들의 ‘선어’를 본뜬 것인 만큼 주제의식 또한 고려당악들이 표상하던 ‘임금에 대한 송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속악을 정비해가던 당시 속악정재나 악장은 이미 체제가 확립되어 있던 당악정재 및 그 가사들과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맺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고, 당악정재와 속악정재가 ‘임금에 대한 축수’라는 동기와 목적을 공유하고 있었으므로, 두 악장들은 표현문법을 공유하게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고려의 속악정재들 가운데 가장 인기가 높던 무고의 악장 <정읍사>는 악조에서 약간 예외적인 경우다. 중종 조에 이르러 <정읍사>는 ‘淫詞’의 판정을 받아 효자의 노래 <오관산>으로 대체되었지만, 적어도 악조가 완성된 태종 조까지는 그것이 ‘행상 나간 남편에 대한 부인의 걱정’을 그려냄으로써 유교의 ‘㤠 윤리’에 충실한 노래로 간주된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중국의 사신들을 위한 잔치자리에서 속악정재 무고와 그 악장 <정읍사>를 통해 중세왕조 조선의 이념적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