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정희 시에 내포된 불순한 신성(神聖)으로서 에로티즘The Erotism as Impure Divinity in Moon Chung-hee’s Poetry

Other Titles
The Erotism as Impure Divinity in Moon Chung-hee’s Poetry
Authors
엄경희
Issue Date
Sep-2017
Publisher
국제어문학회
Keywords
erotism. divinity; ugliness; sin; taboo; transgression; humanity; naturalness; sacrificial rite; renewal; initiation; 에로티즘; 신성; 추; 죄; 금기; 위반; 인간성; 자연성; 희생제의(犧牲祭儀); 재생; 통과의례
Citation
국제어문, no.74, pp.437 - 464
Journal Title
국제어문
Number
74
Start Page
437
End Page
464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7220
ISSN
1225-1216
Abstract
문정희 시에 내포된 에로티즘의 상상력은 우리가 일반적인 ‘사랑시’로부터 얻게 되는 감미로움이나 따듯함과는 거리가 먼 실존의 갱신과 연계된 강력한 에너지의 방출과 깊이 관련한다. 에로티즘의 충동은 사랑에 대한 일반적 관념에 의해 다듬어질 수 없는 거칠고 파괴적인 힘을 내장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에로티즘의 본질을 이루는 근본적 요소가 신성한 추(醜)와 깊이 연관된다는 것을 대부분 망각한다는 점이다.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이와 같은 불순한 신성의세계를 노정한다는 점에서 우리 현대시사에서 매우 독자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의는 문정희 시에 드러난 에로티즘의 상상력을 여성 젠더(gender)의 문제로 환언하는 것을 유보하고 이를 인간 본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실존의 축으로 확대하여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등장하는 가장 중요한 퍼소나는 자신을 ‘죄인’으로서 선포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죄인으로서 여성 화자는 시인의 에로티즘적 상상을 주도해가는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문정희는 ‘죄의 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에로티즘적 상상의 돌파구를 기초화한다. 이것은 태생적 부정성을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에너지의 방향을 에로티즘으로 선회시켜 재의미화하는 의식의 활동성을 내포한다. 여기에는 자신을 묶어놓은 ‘부정성’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원하고자 하는 자유 의지가 담겨 있다. 그런데 그의 에로티즘의 상상 단계는 아무런 장애 없이 매끄럽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에로티즘에는 희생제의(犧牲祭儀)적 단계가 중요한 과정으로자리 잡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에로티즘을 드러내는 다른 시인들의 시편에 잘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정희의 시에드러난 에로티즘은 ‘끈’의 상징성으로부터 파생된 결박, 찔림, 태워짐 등의 희생적 과정을 내포한다. 이 희생적 과정은 ‘신의 촉감’에 이르기 위한 통과의례라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실존의 의미를 새롭게 쇄신하기 위해 에로티즘과 제의적 단계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편 죽음에 가까운 이러한 자기 쇄신의 과정에는 ‘재생’이라는 강한 생명욕구가 무의식적으로 잠재되어 있다. 희생제의적 단계를 거치면서 ‘다산(多産)하는 처녀’의 상징이 빈번하게 발견되는것은 이 때문이다. 문정희에게 ‘처녀’는 불순과 ‘죄의식’을 ‘축복’으로 바꾸며 ‘기적’을 낳는 신성한 재생의 몸이라 할 수 있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드러난 에로티즘은 인간 본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한 존재의 실존적 에너지를 보여준다. 한국현대시에는 이와 같은 에로티즘적 상상력이매우 빈곤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교적 전통과 인간의 본능 충동을 억압해온 근대의 합리주의가 이중으로 작동한 결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희소성으로서의 가치만이 아니라 근대에 억압된 인간본성을 깊이 재고하는 성과물로서로도 큰 의의를 지닌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Eum, Kyoung Hee photo

Eum, Kyoung Hee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