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관한 재고찰—중부 방언을 중심으로—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Revisited—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Other Titles
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Revisited—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Authors
소신애
Issue Date
Sep-2016
Publisher
국어국문학회
Keywords
움라우트; 개재자음; 제약; 예외; 변이; 중부 방언; umlaut;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exception; variation; the Central dialect
Citation
국어국문학, no.176, pp.237 - 272
Journal Title
국어국문학
Number
176
Start Page
237
End Page
27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8148
DOI
10.17291/kolali.2016..176.009
ISSN
0451-0097
Abstract
본고는 움라우트의 ‘개재자음 제약’을 위반한 예들을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기존에 예외로 처리되어 온 예들을 정밀히 분석함으로써,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개재자음 제약의 성격을 밝히고, 아울러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 및 해당 규칙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세부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중부 방언의 경우, 개재자음이 없어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중부 방언의 경우, 중자음을 개재하고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셋째, ‘ㅈ, ㅊ’을 개재한 ‘쇼쥬>쇠주’, ‘단츄>댄추’와 같은 예를 고려할 때,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는 기저 층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움라우트 규칙은 수의적 규칙이다. 때문에, 해당 규칙을 지배하는 절대적 제약이란 있을 수 없다. ‘개재자음 제약’ 또한 ‘위반 불가능한 제약’이 아니며, 이것은 어디까지나 ‘위반 가능한 제약’으로서 하나의 ‘경향’을 반영할 뿐이다. 다섯째,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일련의 제약들은 표면형에 대한 제약인 ‘표면 적형 제약’이다. 이 같은 제약들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움라우트 규칙 적용상의 변이가 출현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