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日本 東洋文庫 소장 古活字板 『註千字文』(三Ae17)의 몬젠요미 고찰A Study of Monzenyomi on Chūsenjimon(三Ae17) possessed by Tōyōbunko in Tōkyō, Japan

Other Titles
A Study of Monzenyomi on Chūsenjimon(三Ae17) possessed by Tōyōbunko in Tōkyō, Japan
Authors
오미영
Issue Date
Dec-2016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Keywords
千字文; 注千字文; 音讀; 訓讀; 몬젠요미; Senjimon; Chusenjimon; sinoxenicreading; vernacular reading; monzenyomi
Citation
일본연구, no.70, pp.257 - 276
Journal Title
일본연구
Number
70
Start Page
257
End Page
27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8358
DOI
10.15733/jast.2016..70.257
ISSN
1225-6277
Abstract
본고는 일본 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古活字板 『注千字文』(三Ae17)을 대상으로 음독파트와 훈독파트, 그리고 고유명사의 훈독 파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동양고활본에서 오음으로 읽은 64예 중, 32예를 谷村本에서 오음으로 읽었고, 이 32예 중 26예를 내각문고본에서는 오음으로 읽고 있다. 이 26예에 대해서는 천자문 훈독에서, 적어도 17세기 천자문 훈독에서는 오음으로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谷村本 전체에서 오음이 가점된 예는 모두 36예로 동양고활본의 64예를 크게 밑도는 숫자이다. 고찰을 통해 동양고활본의 오음 기입이 다른 훈점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훈독 파트의 고찰에서는 동양고활본이 선행하는 천자문 훈점본의 훈독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훈독을 하고 있는 용례가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천자문 훈점본마다 서로 다른 훈을 기입하고 있는 용례들을 확인하였는데 이 용례들에 대해서는 13세기부터 17세기 초까지 해당 한자 혹은 한자어에 대해 정확한 번역어를 찾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이어졌다고 하겠다. 또한 동양고활본의 음독 파트와 훈독 파트에서 모두 해당 한자를 잘못 이해하고 가점한 예가 확인되었다. 동양고활본에서는 고유명사에 대해 대문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고 세주에서 주점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또 지명과 국명은 모두 일반 명사로 훈독을 하였고, 인명 중 황제의 경우는 「みかど」라고 훈독을 하고 일반인의 경우는 보독을 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동양고활본의 고유명사 가점양상은 선행 훈점본들에 비해 정돈되어 있고 이것은 당시 고유명사와 관련된 몬젠요미가 정착의 단계에 이르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Oh, Mi young photo

Oh, Mi you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