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서(茶書)에서 보는 와카 和歌의 위치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찬수-
dc.date.available2019-03-09T00:02:09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issn1226-444X-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680-
dc.description.abstract다서에서 보는 와카는 크게 4가지 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첫째는 다도의 미의식이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시의 문화는 운문문학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다도에 참여하는 통치자 귀족 중류계층의 무사나 승려등도 와카나 연극 무용등 여러 장르의 소양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와카로부터 미의식이나 표현방법을 차용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둘째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을 형식을 제공하고 있다. 물론 교훈적인 내용이 다도라는 양식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음률이 있어 외우기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도에 임하는 마음가짐, 도구사용 및 배치법등과 같은 내용을 와카의 형식을 빌려 표현하고 있다. 세 번째는 다인의 개인적인 감정이나 일상사를 술회하는 방식이다. 대개의 경우 다인들은 와카나 렌가에 대한 소양이 있었고, 다도를 즐기는 상류계층의 사람들은 한시나 와카 렌가를 다도모임에서 같이 즐기기도 하였다. 따라서 차를 마신 뒤에 같이 시를 읊조리거나 다회가 끝난 뒤 편지로 다회에 대한 소감을 시로 표현하였다. 네 번째는 다도구의 명칭에 사용하였다. 다 도구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고유한 명칭을 붙이거나 전해오는 도구 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와카에서 유래된 도구의 경우에는 이미 정형화된 이미지를 통해 전통미와 권위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실의 거는 족자에 와카나 묵적을 사용하는 것도 불교 사상을 다도의 근본 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전통성과 고전에 대한 권위의식도 작용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Viewed from tea ceremony books, Waka affords four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Waka provides aesthetic consciousness or ideological backgrounds for tea ceremonies. The then culture was based on poetry literature and the cultured men had knowledge of Waka, play or dance. It is therefore evident that aesthetic consciousness or forms of expression were borrowed from Waka. Second, Waka embodies didactic contents. Although the didactic writing was not originated from tea ceremonies, the embedded tone and rhythm made it easier to memorize that one’s attitude of mind towards attending tea ceremonies and ways to use tea services were expressed in forms of Waka. Third, Waka indicates personal feelings or relates the ordinary affairs of life. In most cases, tea-enjoying people were well-equipped with Waka or Renga. In fact, the tea-enjoying upscale were used to delight themselves with Waka or Renga during or after tea ceremonies by reciting and writing poems. Finally, Waka relates to the names of tea services and instruments. It was typical for people to give unique names or keep inherited names of tea services. Especially, tea services associated with Waka could attain classic beauty and authority through the stereotypical image. Although the Buddhist ideology laid a foundation of tea ceremonies, traditions and consciousness of authority with classics also affected the use of Waka or calligraphy in hanging scrolls in tea rooms.-
dc.format.extent22-
dc.publisher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dc.title다서(茶書)에서 보는 와카 和歌의 위치-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외국문학연구, no.53, pp 323 - 344-
dc.identifier.kciidART00185045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344-
dc.citation.number53-
dc.citation.startPage323-
dc.citation.title외국문학연구-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tea ceremony-
dc.subject.keywordAuthorWaka-
dc.subject.keywordAuthorRenga-
dc.subject.keywordAuthoraesthetic consciousness-
dc.subject.keywordAuthordidactic writing-
dc.subject.keywordAuthor다도-
dc.subject.keywordAuthor와카-
dc.subject.keywordAuthor렌가-
dc.subject.keywordAuthor미의식-
dc.subject.keywordAuthor교훈가-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Chan Soo photo

Lim, Chan Soo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