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무형문화재 관련 법률의 제 문제Issu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Authors
임장혁
Issue Date
2018
Publisher
비교민속학회
Keywords
무형문화재; 보전; 보호; 보존; 원형; 전형;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미술; 지식;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afeguarding; preservation; prototype; archetyp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fine arts; knowledge
Citation
비교민속학, no.67, pp 319 - 343
Pages
25
Journal Title
비교민속학
Number
67
Start Page
319
End Page
34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8830
DOI
10.38078/ACF.2018.12.67.319
ISSN
1598-1010
Abstract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2015년 3월 27일 발효되면서 민속학계에서 관심을 갖고 몇 차례 문제점을 논의한 바 있다. 이 법은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에서 무형문화재 관련 규정과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2003, 이하 무형유산협약이라 한다)을 반영하여 제정되었다. 본 논문은 새로 제정된 무형문화재에 관한 법률의 부적절한 규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새로 제정된 법률의 명칭은 ‘보호’ 대신에 ‘보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문화재보호법에 ‘보전’의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있고 오직 새로운 법률 명칭에서만 등장한다. 유네스코의 문화재관련 협약에서 ‘보전’(conservation)은 <세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서 자연유산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또한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은 ‘보호’(protection, safeguarding)는 ‘보전’(preservation)과 ‘활용’을 포괄한 개념이기에 ‘진흥’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법명은 무형문화재보호법이 적절하다. 문화재보호법에서 원형은 보유자의 인정기준으로 적용한 개념이며 종목의 원형을 규정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원형의 개념은 학계에서 논란이 되었고 유네스코에서 무형문화재를 변하여가는 개념을 정립하여 전형의 개념으로 개정하였다. 전형은 동일한 유형에서 본질적인 요소가 잘 실현되는 것을 선별하는 기준이 되기에 민속 관련 무형문화재의 지정의 기준으로 유효하나 보유자인정에 적용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지정대상은 긴급히 지정하여 보호해야 할 국가무형문화재이다. 기 지정된 국가무형문화재를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로 지정은 기지정한 무형문화재를 잘못 관리하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긴급지정에 따른 효력발효 기간이나 해제절차에 관한 규정이 없어 이와 관련하여 법적보완이 시급하다. 무형문화재는 전승자가 행동으로 체현을 할 때에 가시적으로 예술성이 인정된다. 당해 문화재에 지식이 많다고 지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기자에 한하여 전승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의 지정대상 관련 규정에 있어 유네스코의 무형유산협약에 지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지식’이란 용어는 부적절하다. 또한 미술은 무형문화재가 될 수 없기에 미술에 관한 전통기술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me into effect on 27 March 2015, I have discussed several issues in the field of folklore. This Act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of Korea and the UNESCO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inadequate regulations of the newly enac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w from. The name of the newly enacted law used the term conservation instead of protection. The term conservation is not used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but only in new legal documents. Among UNESCO’s conventions concerni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s a term used only for natural heritage in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The existing law in Korea also includes the promotion as a component of protection (safeguarding) that also include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o name the law as Act o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intangible heritage skill-holders are recognized only when their knowledge or skill is determined as “prototype”. However, this concept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academia, much so that the concept of chang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UNESCO has been revised into the concept of archetype. The concept of archetype can be effective as a standard for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s because it is a criterion for select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same type to be well realized. Nevertheless, there is a limit to its application when it concerns the recognition of the holder. Designat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is to carry out prompt action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f one element on the national list is designated in the urgent safeguarding list, this means the element is being mismanaged. In light of this urgent safeguarding list,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period of effect validity or cancellation in case of urgent design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visually acknowledged as artifacts when a practitioner embodies it in action. It is not specified that there is a lot of knowledge in the cultural heritage concerned, and it can be said that only the practitioner is the transmitter. Therefore, knowledge can hardly be a crucial criterion in relation to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heritage. Also, fine arts cannot be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refore, it should be categorized as traditional technique concerning traditional express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