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앱 세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와 유형 효과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ontributor.author김경희-
dc.date.available2019-03-08T05:55:4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sn1225-636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앱세대로 일컬어지는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주관적 삶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방정환재단의 2017년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를 활용하여, 행복은 주관적 건강,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행복 등에 관한 변수로 측정하였고, 사회적 관계는 청소년의 친구규모와 접촉방식에 따른 친구유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가족, 친구, 학교와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하였다. 분석의 첫 단계는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와 청소년의 행복지수 간의 관계에 관한 다변량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그 다음 사회적 연결망의 유형을 친구와의 접촉방식에 따라 오프라인 중심형, 온라인 중심형, 온․오프라인 결합형으로 분류한 후, 유형별로 연결망 규모와 행복 간 관계를 재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역U자형 관계를 보였다. 친구규모가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행복지수 역시 상승하지만, 특정 규모 이상을 넘을 경우 행복지수는 다시 낮아져 비선형적 특징을 보인다. 둘째, 온라인 중심적 친구유형에서는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가 청소년의 행복지수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오늘날 온라인의 역할이 청소년의 새로운 사회자본 축적으로 이어지기보다 이미 축적된 사회자본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모든 사회적 연결망이 청소년의 행복에 긍정적인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연결망 유형이 동일한 결과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즉,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와 유형에 따른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referred to as the “App Generation”, on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f happiness, using the Adolescents’ Happiness Index Survey conducted by the Bang Jeonghwan Foundat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size of social networks on happiness shows a reverse U shape relationship. As the size of friends increases, the happiness index rises, but when the happiness index goes beyond a certain size, it falls again, showing a nonlinear curve. Second, in on-line centered patterns of the social networks of adolescents, the size of social networks does not affect adolescent’s happiness at all. It implies that on-line networking today helps to maintain the social capital already accumulated rather than enhancing it to create new social capital for adolescents. The study concludes that social networks do not always play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adolescent’s happiness. It suggests that patterns of networks result in different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dc.format.extent27-
dc.title앱 세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와 유형 효과-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4816/sky.2018.29.3.27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청소년연구, v.29, no.3, pp 275 - 301-
dc.identifier.kciidART002380715-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30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75-
dc.citation.title한국청소년연구-
dc.citation.volume29-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청소년-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적 연결망-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적 관계-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자본-
dc.subject.keywordAuthor행복-
dc.subject.keywordAuthoradolescent-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networks-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relationships-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capital-
dc.subject.keywordAuthorhappiness-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oung Hee photo

Kim, Kyoung Hee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