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적 여가활동의 시간사용에 대한 결정요인 연구: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을 중심으로Determinants of Time Use of Cultural Leisure Activities: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Married Households

Authors
박혜련허식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문화산업학회
Keywords
Household Charateristics; Time Constraints; Cultural Arts; Cultural Leisure Activities; Multivariate Tobit Model; 가구특성; 시간제약; 문화예술; 문화적 여가활동; 다변량 토빗모형
Citation
문화산업연구, v.18, no.4, pp 1 - 12
Pages
12
Journal Title
문화산업연구
Volume
18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1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582
DOI
10.35174/JKCI.2018.12.18.4.1
ISSN
1598-0936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에 따라 각 여가활동별 시간사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통계청의「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V시청 및 휴식과 같이 ‘집 안’에서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뿐만 아니라 관광 및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같은 ‘집 밖’에서 행하는 활동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시간사용의 제약요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문화적 여가활동을 미디어 여가활동,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스포츠참여 및 야외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 및 가구 내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시간제약이 클 경우 ‘집 안’에서의 여가활동에 편중되어 소극적으로 여가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시간제약을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한 여가활동 참여기회를 보장해야하지만, 단기적으로 미디어 이용 여가활동이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여가활동이 되지 않도록 ‘집 안’에서 참여할 수 있는 질 높은 콘텐츠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에 비해 비취업가구 및 1인가구가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없는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은 ‘집 밖’에서의 여가활동으로 일정한 시간이 확보되어야하기 때문에, 개인의 시간제약 요인을 완화시켜줄 방안이 필요하고, 이는 부족한 시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의 경우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없는 가구와 부부가 모두 비취업 상태인 가구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 역시 ‘집 밖’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여가활동으로 시간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자녀 돌봄 프로그램 확대 및 단시간 참여 프로그램 확대와 같이 부족한 시간을 이용해 참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By using the data of “2014 Time Use Survey”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leisure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period in 'out-of-home' rather than 'in-hom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our study purpose,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media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mmarizing the main results, it i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using the media are increasing in dual-earner households and household members needed care service. Media leisure activities can be seen as a passive consumption of leisure time in the households with large time constraints. Therefore, we need various media leisure activities mitigating the time constraints in the long term. Second, for cultural arts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time of non-working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hat of dual-earner households. Actually, cultural arts need to retain certain period of leisure activities outside the home. Thus, the government tries to provide effective environmental plans to reduce individual time constraints factors. Third, for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we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time is increased when there are no children and when both couples are unemploye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also suggest further efforts for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 polici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utside the hom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eo, Shik photo

Heo, Shik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