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개방형 신경관결손증 태아에서 두개내징후 발현에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광준-
dc.contributor.author이은실-
dc.contributor.author김동호-
dc.contributor.author이상훈-
dc.contributor.author박정덕-
dc.contributor.author박미혜-
dc.date.available2019-07-18T04:05:52Z-
dc.date.issued2005-11-
dc.identifier.issn2287-8572-
dc.identifier.issn2287-858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9445-
dc.description.abstract목적: 개방형 척추신경관결손증은 산전 초음파에서 척수막낭 (meningeal sac)의 형태를 보이거나 낭구조가 없이 파열되어 편평한 형태를 보인다. 척수막낭의 존재는 뇌척수액의 자유로운 누출을 막아 척추신경관결손증의 초음파 특징인 두개내 간접징후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두개내 간접징후는 제 2형 Arnold-Chiari 기형의 발생에 의하며 이는 진단시 재태연령, 병변의 위치와 크기에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막낭의 존재와 두개내징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산전 초음파에서 관찰되는 척수막낭의 존재가 두개내 간접징후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3차 진료기관 두 곳에서 산전진단된 척추신경관결손증 태아 22예 중 초음파상 낭의 존재 여부가 불확실한 1예를 제외한 21예를 대상으로, 산전초음파로 관찰되는 태아 뇌실의 확장, 레몬 징후, 소뇌변형, 대조소실, 횡두경 감소의 5가지 간접 두개내징후의 발현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척수막낭이 존재한 경우는 10예였고 파열된 경우는 11예였다. 척수막낭군의 진단 시기 (중위수)는 21.3주, 파열된 군은 24.0주였다. 초음파검사상 두개내징후는 낭이 파열된 태아군에서 5가지의 간접 두개내징후 모두 더 흔히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척추 병변의 위치, 병변의 크기 및 초음파 검사시의 재태연령은 두개내징후의 발현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막낭이 파열된 척추신경관결손증은 두개내 초음파 간접징후를 더 흔히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dc.description.abstractObjective: There are two types of spina bifida aperta: cystic type and flat type. Unruptured cystic sac of spina bifida may interfere free leakage of cerebrospinal fluid into amnionic fluid space. Therefore its presence could influence the appearance of the intracranial signs on prenatal ultras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ultrasound findings causing the appearance of indirect intracranial signs. Methods: Twenty-one fetuses with spina bifida were evaluated from Jan/1998 to March/2004. Incidence of indirect cranial signs (changes of ventricular width, morphologic change of cerebellum, obliteration of cisterna magna, decreased biparietal diameter and lemon sig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size, location and morphology of the spinal lesion. Results: Meningeal sac was visible in 10 cases (48%), flat form in 11 cases (52%) on prenatal ultrasound. All of the intracranial signs seemed to appear more frequently on flat spina bifida,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t seems like that the presence of the sac in spina bifida aperta did not interfere the appearance of intracranial signs on prenatal ultrasound.-
dc.format.extent9-
dc.publisher대한산부인과학회-
dc.title개방형 신경관결손증 태아에서 두개내징후 발현에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Factors Related with Intracranial Signs in Fetuses with Open Neural Tube Defect-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48, no.11, pp 2541 - 2549-
dc.identifier.kciidART00097957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2549-
dc.citation.number11-
dc.citation.startPage2541-
dc.citation.title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dc.citation.volume48-
dc.subject.keywordAuthorIntracrnial sign-
dc.subject.keywordAuthorSpina bifida-
dc.subject.keywordAuthorMeningeal sac-
dc.subject.keywordAuthor척추신경관결손증-
dc.subject.keywordAuthor척수막낭-
dc.subject.keywordAuthor두개내징후-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Gwang Jun photo

Kim, Gwang Jun
의과대학 (의학부(임상-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