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The Influence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Authors
김재휘전진안
Issue Date
Aug-2009
Publisher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Keywords
프레이밍 효과; 목표행동; 사회적 지지정도; 다수행동과 소수행동; 가치지각; 행동의도; 설득; Message framing; Target behavior;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dvertising effect; Value Perception; Behavioral intention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10, no.3, pp 419 - 435
Pages
17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ume
10
Number
3
Start Page
419
End Page
4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2982
DOI
10.21074/kjlcap.2009.10.3.419
ISSN
1229-8778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가’ 라는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다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 혹은 소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프레이밍의 설득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염예방접종을 하도록 설득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3(사회적 지지정도 3가지 수준)* 2(이득과 손실 프레이밍)의 요인설계를 통하여 제시하고, 각각의 효과를 검토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 다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은 행동)에서는 이득보다 손실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소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낮은 행동)에서는 손실보다 이득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프레이밍을 통한 설득에 있어서 타인(다른 사람들)과 같은 사회적 준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공공정책이나 소비행동의 설득에서도 유용할 수 있는데, 현재 얼마나 찬성(수용)하는 사람이 많은가와 같은 여론이나 확산의 정도에 따라서 설득의 프레이밍을 달리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In the concrete,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aj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and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in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validate it,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we used vaccination behavior as the target behavior in the experiment. In result, we found that when an in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many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loss framing than gain framing because losses loomed larger than gains. On the other hand, when an in 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a few of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gain framing than loss framing because an individual estimated gains more importantly than losses. And the result of behavioral intention is same as above.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Hwi photo

Kim, Jae Hwi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