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택과 공공시설에서의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유성은-
dc.date.available2019-08-21T06:02: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sn1229-799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4975-
dc.description.abstract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자기개발, 자아실현 등 장애인과 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이 증가하게 되고, 교육 및 취업 기회가 확대되면서 스스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해줄 필요가 있으며, 생활환경의 개선을 통한 물리적 접근성의 제공은 장애인에게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꼭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과 공공시설에서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편의시설 설치로 인한 물리적 접근성이 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토하였다.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주택과 공공시설의 물리적 접근성, 삶의 질, 응답자의 개인속성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장애인들이 독립적으로 외출이 가능하며 대부분 외출 빈도가 높았다. 반 이상의 장애인들이 외부활동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는데 ‘무장애화 편의시설 부족’을 가장 불편한 점으로 지적하여 장애인들의 외부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무장애화 편의시설 설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택과 공공시설의 외부와 내부에서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편의시설에 대해서 주택 외부의 경우 내부로 이르는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가 가장 불편하다고 나타났으며, 주택 내부의 경우 가장 불편한 공간이 욕실과 부엌 작업대 주변이었다. 공공시설의 경우 외부는 주출입구와 통로의 턱 낮추기나 경사로 설치가 가장 불편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내부에서는 출입문의 이용과 복도 바닥면의 높이차가 가장 불편한 항목으로 조사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조사대상 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전반적이 만족감이 낮았으며, 특히 사회활동에 참가 가능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넷째, 주택과 공공시설의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택과 공공시설의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잘 되어 있을수록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나타난 주택과 공공시설에서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크게 주는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주택 외부: 주택 외부에서 내부로 이르는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출입이 가능한 주출입구와 출입문 설치2) 주택 내부: 주택 내부에서 실내 돌출물이 없고 통로 폭 확보, 문 전후 휠체어 활동공간 확보, 부엌 작업대 주변 휠체어 활동공간 확보, 부엌작업대 하부공간에 휠체어 접근 가능한 공간 확보3) 공공시설 외부: 건물의 주출입구와 통로의 턱을 낮추거나 경사로 설치,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확보4) 공공시설 내부: 장애인전용 화장실 확보본 연구결과는 물리적 환경의 특성,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장애인의 총체적인 삶의 질에 유의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물리적 환경특성이 장애유형과 노화에 따른 다양한 개인적 특성과 관련되어 개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dc.format.extent8-
dc.publisher한국실내디자인학회-
dc.title주택과 공공시설에서의 접근가능한 디자인 요소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 of Accessible Design Features of Housing and Public Facilit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1, no.1, pp 3 - 10-
dc.identifier.kciidART00163957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title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21-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Accessible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Barrier free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Quality of life-
dc.subject.keywordAuthor접근가능한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무장애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삶의 질-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o Young photo

Lee, So Young
예술대학 (실내환경디자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