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에서의 헤세수용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창현-
dc.date.available2019-08-23T03:01:4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issn1598-366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5827-
dc.description.abstract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많은 독자들에 의해 여러 각도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진다. 헤세의 작품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 8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각 시대별로 어떻게 그가 해석되어 왔는지를 논자는 알아봤다. 그러나 헤세의 작품에 대한 독자의 수용은 적어도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번역 작품 숫자와 발표된 논문들을 통해서, 어떻게 우리에게 수용되었는지를 파악했다. 오늘날 컴퓨터 소프트웨어분야의 급신장과 인터넷의 일상화는 직접 독자들이 헤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헤세 사이트를 통해, 마음껏 피력하고 있다. 헤세의 한국수용에 대한 연구를 하는 사람으로서 이 정보는 너무나 소중한 것이다. 헤세가 어떻게 우리에게 받아들여지는 가를 기존의 방식보다는 훨씬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제부터는 좀더 신뢰할만한 "헤세의 한국수용" 연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가운데 헤세 박물관이 목원대에 건립된 것은 상당히 큰 뉴스거리로써 신문에 많이 보도되기도 했다. 헤세 수용의 커다란 전기가 이 두 가지를 통해 마련되어 헤세 연구와 대중화가 더욱더 활성화되어 지고 있다. 논자 역시 "헤세의 한국수용"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논문이나 소설 작품을 통한 수용 연구보다는 인터넷을 통한 "헤세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러나 우선은 기존의 방식대로 논자는 소설의 번역을 통한 헤세의 한국 수용에 대해 알아봤다. 헤세 수용에 있어서 90년대가 80년대에 비해 눈에 띄는 특징으로 첫째 <데미안>의 번역횟수가 80년대에도 15회로 엄청나게 많았었는데, 90년대는 31회로 두 배 가까운 증가를 나타내 보였다. 즉, 우리나라 독자들은 장편 가운데 데미안을 유별나게 선호함을 알 수 있다. 둘째 60년대에 많이 번역·출판되었다가 70년대, 80년대에 들어 그 번역횟수가 급격하게 줄어든 <나르치스와 골드문트>가 무려 19회나 번역·발표되었다. 셋째 헤세의 시, 산문, 수필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커졌다는 것이다. 특히 <시선집>이 8가지나 출판되었으며, 수필 및 산문을 골라 번역한 일종의 <선집>으로 나온 것이 10여 가지가 되었으며 <수필선집>은 무려 11가지나 되었다. 우리의 헤세 수용이 갈수록 높아짐을 의미한다. 헤세 작품을 각색해서 나온 명작만화가 네 편이나 되었다. 어린이들에게 헤세를 소개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90년대에도 번역진이 많이 달라졌다. 90년대 헤세 작품의 새 역자는 전 영애 정도를 꼽을 수 있다. 그 외 두드러진 번역활동을 하는 전공자는 눈에 띄지 않는다. 대신에 비전공자라든지 독문학 전공한 대학원생들이 번역 진을 형성하고 있다. 번역태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오역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원전을 통한 번역이 아닌 비전공자에 의한 영역 본에 의한 중역이 계속되고 있다.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90년대에 눈에 띄는 부정적인 요소는 바로 남의 번역을 약간 바꿔서 또는 그대로 베끼는 비도덕적 번역가가 있었다. 올바른 헤세 작품 소개를 위해서도 근절되어야 한다. 헤세 한국 수용에 있어서, 즉, 이상적인 수용을 위해, 한 가지 언급하고 싶다. 그건 바로 헤세 전문가들에 의한 헤세 작품 번역이다. 그래야 헤세를 독자들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dc.publisher한국헤세학회-
dc.title한국에서의 헤세수용-
dc.title.alternativeKorean Hesse-Reception in Translation -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about Hesse reception in the year from 1990 to 1999-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헤세연구, no.12-
dc.identifier.kciidART000953315-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number12-
dc.citation.title헤세연구-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헤세-
dc.subject.keywordAuthor데미안-
dc.subject.keywordAuthor번역-
dc.subject.keywordAuthor연구-
dc.subject.keywordAuthor수용-
dc.subject.keywordAuthorHesse-
dc.subject.keywordAuthorInterpretation-
dc.subject.keywordAuthorResearch-
dc.subject.keywordAuthorReceptio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