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셸링의 칸트 수용과 비판 : 『철학 일반의 형식의 가능성에 대하여』와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에 대하여 혹은 인간 지식에서의 무제약자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영선 | - |
dc.date.available | 2019-08-23T05:58:08Z | - |
dc.date.issued | 2008 | - |
dc.identifier.issn | 1598-9372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5899 | - |
dc.description.abstract | 셸링의 초기철학은 칸트철학과의 비판적 경계설정에서 출발한다. 칸트는 자기의식을 철학의 ‘최고 지점’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셸링이 보기에 칸트철학의 최고 지점은 아직 정당화된 원리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칸트는 지적 직관으로서의 자기의식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셸링은 무제약자로서의 자기의식의 구조 분석을 선행과제로 삼는다. 셸링에선 절대적 자아가 본래적 자아이며, 이에 반해 비아에 대립한 자아는 비아와 맺는 관계 때문에 단지 경험적 자아이거나 혹은 자아 자체가 아니다. 칸트철학의 ‘결과’를 수용하되 칸트철학에 결여된 ‘전제’를 보완하여 칸트철학의 본래적 ‘정신’을 드러내려 한 셸링의 초기철학은 개념에 의해 매개된 것이 아니라 인간 안에 직접적으로 현재적인 것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셸링은 최초의 공식적 저술인 『철학 일반의 형식』(1794)에서 철학적 원리의 수립 가능성을 탐색한다. 철학의 근본원칙이 하위의 다른 모든 원칙들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할 수 있기 위해선 근본원칙이 스스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셸링은 피히테에 의지하여 내용과 형식이 상호 결합된 ‘무제약성의 원칙’(‘자아는 자이이다’)과 이로부터 ‘비아는 자아가 아니다’의 ‘제약성의 원칙’ 그리고 ‘무제약성에 의해 규정된 제약성의 원칙’을 수립한다. 셸링은 이 3가지 원칙이 모든 학문의 근본형식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먹구구식으로(ex abrupto) 수립된 칸트적 범주의 연역이 수정될 수 있다고 본다. 『철학 일반의 형식』에서 칸트의 비판과 수용이 논리적, 이론적으로 수행되었다면 『자아에 대하여』에선 여기서 더 나아가 실천적인 데까지 이른다. 통각의 선험적 통일이 이론적 지식의 정초와 경험적 제약의 조건에서만 가능한 한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의 이분화는 철회될 수 없다. 칸트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전략으로 셸링은 오직 행위(Handlung)에서만 실현될 수 있는 무제약적 원리를 제안한다. 즉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는 사태나 대상에 대한 표상이나 사유가 아니라 행위 가운데 주어진다는 것이다. 이로써 셸링은 인간의 본질이 절대적 자유에서 존립한다는 점을 확고히 하는데, 이는 곧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는 진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과 다름없다. 이렇듯 무제약자에서 제약자로 진행하는 셸링의 논증과정은 칸트를 역전시키며, 따라서 인식론적 대응설을 극복하고 내면적 예정조화의 이론을 제시한다. | - |
dc.format.extent | 35 | - |
dc.publisher | 한국칸트학회 | - |
dc.title | 초기 셸링의 칸트 수용과 비판 : 『철학 일반의 형식의 가능성에 대하여』와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에 대하여 혹은 인간 지식에서의 무제약자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Schellings Kritik an Kant und seine Aufnahme der Kantischen Philosophie in die frühe Philosophie | - |
dc.type | Article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칸트연구, no.21, pp 127 - 161 | - |
dc.identifier.kciid | ART001257340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citation.endPage | 161 | - |
dc.citation.number | 21 | - |
dc.citation.startPage | 127 | - |
dc.citation.title | 칸트연구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subject.keywordAuthor | I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Nicht-I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das absolute I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das empirische I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lbstbewußtsein | - |
dc.subject.keywordAuthor | der höchste Punkt | - |
dc.subject.keywordAuthor | das Unbedingte | - |
dc.subject.keywordAuthor | Adäquationstheorie | - |
dc.subject.keywordAuthor | prästabilierte Harmonie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아 | - |
dc.subject.keywordAuthor | 비아 | - |
dc.subject.keywordAuthor | 절대적 자아 | - |
dc.subject.keywordAuthor | 경험적 자아 | - |
dc.subject.keywordAuthor | 최고 지점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기의식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무제약자 | - |
dc.subject.keywordAuthor | 대응설 | - |
dc.subject.keywordAuthor | 예정조화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02-820-6194
COPYRIGHT 2019 Chung-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