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혼 남녀의 사회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훈-
dc.contributor.author신재열-
dc.date.available2019-08-28T10:05:5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issn1228-115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627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자료(KLIPS)를 활용하여 기혼 남녀의 사회계층의식에 대해 부부의 개인적 속성과 가구속성을 중심으로 그 영향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부부의 취업 여부와 취업형태 조합을 불문하고 기혼 남녀의 사회계층의식에 대해 가구의 경제적 속성이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사실이 확인된다. 둘째, 부인이 취업하여 가계를 책임지는 가구의 경우 실직 또는 미취업상태인 남편의 계층의식이 배우자(부인)의 속성에 의해 의존한다는 흥미로운 분석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사회계층지위의 인식에 있어 기혼 남성을 기준 삼아 배우자로서 여성의 계층의식(독립형이든 공유-차용형이든)을 가늠하는 기존 연구들의 (남성 중심) 성특수적 관점이 더 이상 유효치 않고, 성별을 불문하고 취업여부가 부부의 계층의식에 더욱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새롭게 밝히고 있다. 셋째, 학력의 계층효과와 관련된 흥미로운 발견으로서 부인의 경제활동에 의존하는 실직 중의 남편에 대해 높은 고학력(과 배우자의 높은 소득)이 오히려 박탈감이나 자괴감을 드러내는 “역차용”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또한, 우리 노동시장에서 매우 열악한 신분지위와 차별적 처우가 주어지고 있는 비정규직의 취업이 대부분의 기혼 남녀들에게 계층지위의 핵심적인 판단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혼 남녀의 계층지위의식과 관련하여 40대의 중년층 및 50대 중고령층 진입, 즉 “사오정세대”의 남편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계층의식을 보이고 있는 반면, 60대의 고령층 기혼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지위의식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personal and household attributes of married men and women affect their social status identification, by drawing on the KLIPS data. Our study identifies that economic household conditions are very significant in determining subjective status identifica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Secondly, in light that the unemployed husband’s social status is influenced by the employed wive’s personal attributes, the employment status is a crucial factor to affect the status conscious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rejecting the existing gender-specific perspective. Thirdly, the high education of unemployed husbands and their wives’ high incomes lead them to have an attitude of shame and dispossession, which sheds light on the effect of “reverse borrowing.” Fourth, the non-regular employment status, which symbolizes the discrimination and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context of Korean labor market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ocial status identifica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Moreover, married men whose age is in the 40s and 50s have lower status identification, whereas married women who are over 60 years old show higher status positioning.-
dc.format.extent28-
dc.publisher한국사회과학연구회-
dc.title기혼 남녀의 사회계층의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Status Identifica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동향과 전망, no.76, pp 205 - 232-
dc.identifier.kciidART00134585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232-
dc.citation.number76-
dc.citation.startPage205-
dc.citation.title동향과 전망-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사회계층의식-
dc.subject.keywordAuthor기혼 남녀-
dc.subject.keywordAuthor성특수적 관점-
dc.subject.keywordAuthor비정규직-
dc.subject.keywordAuthor역차용효과-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Status Identif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Married Men and Women-
dc.subject.keywordAuthorGender- specific Perspective-
dc.subject.keywordAuthorNon-regular Labor-
dc.subject.keywordAuthorReverse Borrowing Effect-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