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의 관계분석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ability, Optimism, Musical ability and Basic language learning ability.

Authors
심재연
Issue Date
Nov-2019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유아; 정서능력;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young children; emotional ability; optimism; musical ability; basic language learning ability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9, no.21, pp 953 - 982
Pages
30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9
Number
21
Start Page
953
End Page
98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602
DOI
10.22251/jlcci.2019.19.21.953
ISSN
1598-2106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유치원 5곳 만 5세 유아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서능력’,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능력에 대한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낙관성, 음악능력 보다는 기초언어학습능력이 유아의 정서능력을 예측하는 강력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기초언어학습능력에서 읽기가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낙관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특질이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추가적으로 음악능력의 하위요인 중 가락이 유아의 정서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