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보리엔슈차회기집성(小堀遠州茶会記集成)』에 나타난 고려다완 고찰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용란-
dc.date.accessioned2021-06-18T07:23:53Z-
dc.date.available2021-06-18T07:23:53Z-
dc.date.issued2019-09-
dc.identifier.issn1225-964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691-
dc.description.abstract고려다완은 일본다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선다완의 총칭이다. 고려다완의 분류는 크게 조선의 일상생활 기물에서 선별된 미타테다완(見立て茶碗)과 일본에서 주문을 받아 조선에서 제작한 주문다완(注文茶碗), 일본에 건너간 조선 도공들이 일본에서 제작한 다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에도시대 초기의 다인,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의 차회기인 고보리엔슈차회기집성(小堀遠州茶会記集成) 을 중심으로 다이묘차(大名茶)에서 사용된 고려다완에 대해 고찰했다. 총 30여 종류의 고려다완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다완은 도도야다완과 이도다완이다. 고보리 엔슈의 차회는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창조기에는 센 리큐(千利休)의 유서(由緒)가 있는 고려다완을 위시로 하여, 도도야다완과 시마고려다완이 사용되었다. 확립기에는 약간 굽이 높고, 형태가 약간 비뚤어진 형태이지만,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다완이 많다. 도쿠가와 장군의 위엄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기존의 고려다완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세련된 디자인의 고려다완을 선별해서 사용하여 다이묘차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 만년기에는 세토다완(瀬戸茶碗)이 고려다완의 두 배 정도 사용되고 있으나, 고려다완은 와비차의 공간인 스키야(数寄屋)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일본인은 고려다완에 친근감과 소박한 이미지를 느껴서 즐긴다고 한다. 또한 말차다완 전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을 잘 갖추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에도초기, 고려다완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이묘차의 ‘기레이사비’ 다완으로서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며, 새로운 시대에 상응하는 다완으로 존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조건으로서는 센노리큐의 정통을 잇는 유서가 있고, 다완의 굽이 약간 강조되었으며, 디자인적으로 다양하고 독특한 모양을 선별한 점, 또 같은 종류의 다완이라도 의미를 부여하여 그 가치를 높이고자 한 점 등을 들 수 있겠다.-
dc.format.extent10-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차학회-
dc.title『고보리엔슈차회기집성(小堀遠州茶会記集成)』에 나타난 고려다완 고찰-
dc.title.alternativeGoryeo-chawan Based on ‘Kobori Enshu Chakaikishusei-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9225/jkts.2019.25.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차학회지, v.25, no.3, pp 1 - 10-
dc.identifier.kciidART00250768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0-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title한국차학회지-
dc.citation.volume25-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Goryeo-chawan-
dc.subject.keywordAuthorordered Tea bowls-
dc.subject.keywordAuthorindividuality-
dc.subject.keywordAuthorKairagi-
dc.subject.keywordAuthoraesthetic sense-
dc.subject.keywordAuthor고려다완-
dc.subject.keywordAuthor주문다완-
dc.subject.keywordAuthor개성-
dc.subject.keywordAuthor매화피-
dc.subject.keywordAuthor미의식-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School of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