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제강점기 서도잡가 <신판공명가>의 출현과 그 의미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광숙-
dc.date.accessioned2021-06-18T07:27:50Z-
dc.date.available2021-06-18T07:27:50Z-
dc.date.issued2019-06-
dc.identifier.issn1225-779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774-
dc.description.abstract일제강점기 국악계에서는 기존 음악에 대중적인 요소를 넣어 ‘신작○○’, ‘신판○○’ 등의 제목으로 개작 작품이 출현하였으며, 서도소리에서도 &lt;신판공명가&gt; 등 신작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1939년 태평레코드사에서 발매된 &lt;신판공명가&gt;는 김다인의 구성과 김추월의 소리, 박세명의 대사, 고재덕의 피리, 태평관현악단의 반주로 이루어진 작품이었다. 본고에서는 &lt;신판공명가&gt;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고, &lt;신판공명가&gt;의 구성 및 사설, 음악을 분석하여 ‘신판’의 지향점을 어디에 두고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lt;신판공명가&gt;는 가창+장구 반주라는 전통적인 연주방식에 피리 반주와 대사를 추가하여 입체적이면서 극적인 방향으로 &lt;공명가&gt;의 전환을 시도한 구성임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노래하는 중간 중간에 이야기 설명을 대사로 처리하여 속도감 있는 극적 전개를 보여주었고, 피리 반주로 음악요소를 풍성하게 구성하여 입체적인 음악을 형성하였다. 이 점에서 ‘신판’의 기획의도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lt;신판공명가&gt;의 사설은 현행 &lt;공명가&gt;와 동일한 사설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단락이 대사로 축소된 형태를 보였다. &lt;신판공명가&gt;는 기존 사설 흐름을 그대로 유지하되 극적 부분은 가창으로, 상황 설명은 대사로 처리하여 속도감 있게 전개하였다. 특히 극적 긴장감이 가장 고조되는 동남풍 비는 대목과 조자룡 활 쏘는 대목을 노래로 구성한 점은 &lt;신판공명가&gt;가 삼국지 의 줄거리를 따르면서 서도소리의 가창 특징을 살리고자 했던 방향으로 구성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lt;신판공명가&gt;의 노래를 현행과 비교하여 선율 및 창법 면에서 두 음악이 대체로 유사한 진행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김추월의 소리가 비교적 담백하게 구성되었는데, 이는 &lt;신판공명가&gt;의 선율과 창법 구사가 가창자의 감정 표현이나 노래의 예술성을 높이려는 목적보다는 담백하게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하는 의도에 있었다고 해석하였다. 요컨대 &lt;신판공명가&gt;의 ‘신판’은 가창에 있어서 새로움을 추구하기보다는 서도소리의 창법을 토대로 반주와 대사의 외적 요소에 집중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기는 전통음악 상업화의 서막이 열리고 서양음악과 일본음악이 유입되면서 전통음악계는 경쟁과 도전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게 되었다. 서도소리에 나타나는 ‘신’, ‘신판’, ‘신작’ 등의 움직임은 전통음악의 특징과 사설 흐름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반주와 구성에서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는 방향으로 서도 음악인들이 추구한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단면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dc.format.extent19-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국립국악원-
dc.title일제강점기 서도잡가 &lt;신판공명가&gt;의 출현과 그 의미-
dc.title.alternativeThe Appearance and the Meaning of the New Edition of the Gongmyeongg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9028/JNGC.2019.39.08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악원논문집, no.39, pp 87 - 105-
dc.identifier.kciidART002481487-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05-
dc.citation.number39-
dc.citation.startPage87-
dc.citation.title국악원논문집-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공명가-
dc.subject.keywordAuthor신판공명가-
dc.subject.keywordAuthor서도잡가-
dc.subject.keywordAuthor서도소리-
dc.subject.keywordAuthor김추월-
dc.subject.keywordAuthor일제강점기-
dc.subject.keywordAuthorGongmyeongga-
dc.subject.keywordAuthornew versions of Gongmyeongga-
dc.subject.keywordAuthorSeodo jabga-
dc.subject.keywordAuthorSeodo sori-
dc.subject.keywordAuthorKim Chu-wol-
dc.subject.keywordAuthorJapanese Colonial Period-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